우리금융그룹 금융계열사 분리매각으로 추진되던 우리은행과 우리에프아이에스(FIS) 통합이 전면 중단됨에 따라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리은행과 우리FIS는 향후 있을 인사와 조직개편 때문에 중단했다고 밝혔지만 우리은행 매각 임박에 따른 영향으로 금융권은 보고 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FIS의 전사자원관리(ERP) 시스템을 우리은행 시스템으로 이전하는 등 본격적인 통합을 추진하던 두 계열사가 최근 통합을 중단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남·광주은행, 우리투자증권, 우리아비바생명 등 주요 금융계열사 매각이 이뤄짐에 따라 우리은행과 우리FIS는 업무 통합을 추진했다. 우리FIS 주요 업무는 우리은행으로 이관하고, IT인력 공급과 운영만 담당하는 기업으로 남게 된다.
최근 통합 추진이 중단되면서 금융권에서는 각종 시나리오가 제기됐다. 가장 설득력 있는 시나리오는 교보생명 등 우리은행 인수주체가가 등장하면서 향후 인수 금융사의 IT계열사 간 통합 논의 때문이라는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만약 인수를 검토 중인 교보생명이 우리은행을 인수하면 교보생명 IT계열사인 교보정보통신과 우리FIS 간 통합 논의를 별도로 추진해야 하기 때문에 최근 우리은행과 우리FIS 간 통합을 중단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우리FIS는 통합을 중단한 것이 아니고 잠시 보류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매각과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는 것이다. 우리FIS 관계자는 “곧 있을 인사와 조직개편 때문”이라며 “은행과 우리FIS 간 IT거버넌스를 정리하는 차원으로 추진돼 매각이 미치는 영향은 없다”고 말했다.
우리FIS는 우리은행과 IT거버넌스 정리 후 신한금융그룹의 IT서비스기업인 신한데이타시스템처럼 IT인력을 공급하는 전문기업으로 탈바꿈할 계획이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