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에너지 공기업, 해외사업 부실 논란 여전해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국석유공사와 한국가스공사의 부실 해외 사업에 대한 질타가 잇따랐다. 지난 정부 때 무리하게 추진했던 결과다.

한국가스공사는 셰일가스 도입을 위해 총 1조원을 투자한 캐나다 혼리버 등 3개 사업이 도마에 올랐다. 수익은커녕 원금조차 회수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김제남 정의당 의원은 가스공사가 제출한 ‘혼리버 사업 등 사업비 회수전망’을 근거로 캐나다 셰일가스 사업 확정손실은 이미 6688억원에 달하는 데다 25년간 영업이익이 총 1900억원에 불과해 이자를 감당하기도 어렵다고 주장했다.

혼리버 사업만이 정상 진행되고 있을 뿐 웨스트컷뱅크, 우미악 2개 사업은 이미 경제성이 없거나 사업 자체가 수포로 돌아갔다. 실제로 가스공사 캐나다법인 회계감사인인 KPMG에서도 혼리버 사업 등이 계속 기업으로 잔존이 현저히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유일하게 진행되고 있는 혼리버 사업 전망도 불투명하기는 마찬가지다. 지난해 혼리버 매출은 413억원에 올해 혼리버 사업이 완전 가동하더라도 영업이익은 180억원을 넘기기 어려울 것으로 김 의원은 분석했다.

김 의원은 “가스공사가 가스 가격 전망에 실패했기 때문”이라며 “사업 추진 당시 국제 액화천연가스(LNG) 열량단위인 MMbtu당 5달러 수준이던 가격이 10달러까지 뛸 것으로 전망했지만 북미 가스가격은 여전히 5달러에 머무르고 있다”고 밝혔다.

전순옥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도 가스공사의 투자손실에 대해 따져 물었다.

가스공사가 투자한 우즈베키스탄 압축천연가스(CNG) 충전소와 CNG차량 개조를 위한 용기를 제조하는 실리더 사업, 모잠비크 마푸토 도시가스 사업은 중하류 사업으로 가스공사 정관상 불가능한 사업을 무리하게 벌였다고 지적했다. 153억원을 투자해 한푼도 못 건진데다 매각조차 쉽지 않아 추가로 110억원이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다.

CNG 충전소 및 실리더 사업은 토지와 공장 건설을 담당한 우즈벡 정부가 재정 부족을 이유로 사업을 중단했다.

전 의원은 “가스공사는 이런 상황인데도 우즈벡 정부에 손해배상책임을 물을 수 있는 조항을 계약서에 명기조차 안 했다”며 “이미 투자된 88억원은 현재 회수가 불투명하다”고 주장했다.

부좌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석유공사의 해외사업 매각 손실을 지적했다.

석유공사가 추진 중인 캐나다 하베스트 하류부문 자회사인 노스아틀랜틱리파이닝(NARL) 매각에서 최대 1억1300만달러 손실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NARL의 출구전략을 검토 중인 외부전문기관 보고서도 “매각을 추진하면 매각 가치가 매우 낮게 평가될 수 있으며, 경쟁력 악화 전망과 환경오염 관련 리스크 확대 등 부정적 요소가 많다”고 명시했다.

부 의원은 “석유공사는 자금유출 가능성이 있음에도 매각하면 1033억원의 부채 감축이 가능하다는 계획을 제출했다”며 “손실 가능성이 있다는 점은 다시 한 번 NARL 인수과정의 문제를 드러낸 것”이라고 질타했다.


유창선기자 yuda@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