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서울·제주·대전, 전기택시 수익모델에 주력

Photo Image

올 하반기를 시작으로 서울과 제주, 대전이 전기자동차 택시 사업에 본격 나선다. 지난해 시범 사업을 통해 시장성이 입증된 만큼 기존 택시 수준의 새로운 시장이 열릴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Photo Image
정양균 기사(유진택시)가 회사에 마련된 충전인프라를 통해 전기택시를 충전하고 있다.

내년에 국내 도입되는 전기택시는 지자체 위주로 약 40대 수준이다. 과금 체계 등 지자체 지원책으로 아직 공공 위주로 제한된 시장이지만 민간에서도 전기택시 시장을 주시하고 있다.

대전시는 최근 개인택시와 법인택시 사업자를 대상으로 10대의 전기택시 사업자 공고를 냈다. 지난해부터 시범 사업에 참여했던 대전 내 유진택시 등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전시는 2020년에는 모든 택시를 전기택시로 바꾼다는 계획이다. 전기택시 도입으로 비싼 연료비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택시 업체의 수익 개선에 주력하면서 친환경 교통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대전에 이어 제주도 최근 시범 사업을 마치고 내년부터 2017년까지 연차별로 노후화된 택시·렌터카 1000대를 배터리 리스형(내장·탑재형 가능) 전기택시 등으로 교체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제주는 충전소 이용에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전기택시 배터리 교환형 시스템을 마련해 충전 인프라부터 완성도를 높일 방침이다.

서울시도 3년 만에 전기택시 사업을 재개했다. 지난 8월 서울시는 내년 4월까지 8개월간 SM3 ZE 10대를 택시로 운행해 경제성과 환경성을 치밀하게 분석한 후 상용화 계획을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법인택시가 하루에 LPG 70ℓ를 사용할 경우 연료비는 유가보조금을 제외하고도 6만3000원이지만 전기택시는 13% 수준인 8300원에 불과하다는 강점을 내세워 시장성을 입증한다는 전략이다.

강희은 서울시 친환경교통과장은 “전기차 배터리 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가운데 충전 인프라 역시 내년이면 경부고속도로까지 들어서게 된다”며 “지난달 사업에 참여한 두 택시업체의 경우 매출액이 줄었지만 연료비가 절감되면서 이익은 오히려 늘었다”고 말했다. 계절·온도 변화에 따른 데이터를 분석해 사업성을 입증해 내기로 했다.

지자체뿐 아니라 민간 차원에서 전기택시 사업 진출 움직임도 있다. 정부 보조금 없이도 연료비 절감과 효율적인 충전인프라 운영만으로 사업성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전기차 업계 한 관계자는 “경기·수도권 지역 일부 택시개인조합에서 집단으로 전기차와 충전인프라를 도입·구축해 LPG택시를 전기차로 교체하는 사업이 진행 중”이라며 “택시 사업 환경과 전기차 특성을 접목한다면 충분한 경쟁력이 있다는 판단에서 전기차 도입을 원하는 사업자 수요가 늘고 있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전기택시가 경제성 등 경쟁력이 뛰어나지만, 새로운 분야인 만큼 시장 진입을 위한 신뢰성 확보가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대전과 제주의 지난해 시범사업에서 예상치 못한 고객 반응이 제기됐다. 전기차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포함해 연료비가 전기요금으로 산정됨에 따른 서비스 체계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제주도청 관계자는 “전기택시를 운행하면 매월 연료비 60만원가량이 줄고 충전기 과금체계(유료화)가 마련되면 30만~35만원 정도 절감될 것”이라며 “기존 택시와 다른 수준의 요금이나 서비스뿐 아니라 감전 의구심을 해소할 수 있는 전기차 안전성 검사센터 등 신뢰성도 제공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표】전기택시 이용고객이 제기한 주요 불편사항(자료 : 서울·제주·대전)

[이슈분석]서울·제주·대전, 전기택시 수익모델에 주력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