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재난·철도·해양, 700㎒대의 효과적 공존 방안 마련해야

Photo Image

정부는 황금주파수 대역인 700㎒대역 20㎒ 폭을 재난망에 할당키로 했다. 이르면 이번 주 국무총리실 주파수 심의위원회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718㎒~728㎒, 773㎒~783㎒ 대역이 재난망 용도로 할당될 전망이다. 상행과 하행에 각각 10㎒ 폭을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미래부는 지난 7월 말 재난망 기술을 확정 발표하면서 재난망을 철도(LTE-R)와 해양(e-내비게이션)과 같이 공공통신망으로 활용하겠다고 발표했다. 전국에 깔린 철도망, 해양 안전관리체계와 시너지를 내기 위해서다.

공동 활용 계획에 대한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이다. 재난망이 커버하지 못하는 지역까지 범위가 넓어지고 비용도 절감될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 경제성뿐만 아니라 여러 자원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어 재난 구조 활동의 효율성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큰 우려 사항은 전파 간섭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전문가들은 통신 기술과 관련 소프트웨어가 발달했기 때문에 충분히 주파수 공동 활용이 가능하다고 내다보고 있다.

박성균 공주대 전파공학과 교수는 “현재 간섭 문제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주파수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한 분석 작업이 진행 중”이라며 “합리적 공존 방안이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재난망 예상 투자 예산이 2조원으로는 충분한 기지국 설치가 어려운데 철도, 해양과 망을 공유하면 오히려 경제성이 높아지고 커버리지가 넓어질 수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철도에서 LTE-R 구축에 1조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기 때문에 실제 재난망에 4조원 가까운 자금의 투자 효과가 생길 수 있다는 설명이다.

철도와 해양이 별도 주파수를 사용했다면 주파수를 더 확보해야 하고 재난망 구축비용도 늘어난다. 하지만 철도 인근에서 재난이 발생하면 철도 무선통신망인 LTE-R를 재난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해양에서 재난이 발생할 때도 마찬가지다.

박 교수는 “세 가지 공공망을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공유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안을 이번 ISP에서 마련해야 한다”며 “공공 주파수 공동 활용은 세계적으로 처음 있는 시도라 제대로만 설계한다면 우리의 앞선 기술력을 세계에 선보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