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오일허브 구축을 위한 작업이 시작됐다. 3월 정부의 세부 추진대책 발표 이후 관련 규제 개선 작업이 진행되면서 사전 작업이 순항하고 있다. 석유를 중계하고 거래하는 국제 석유 물류의 중심 거점을 두겠다는 목표가 점점 현실로 다가왔다. 오일허브 구축은 안으로는 석유 비축물량 확대와 도입처 확보로 에너지 안보를, 밖으로는 아시아 시장의 점유율 유지와 차익 거래를 통한 경제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에너지 빈국의 설움을 털어낼 수 있는 최적의 기회인 셈이다. 이에 전자신문은 3회에 걸쳐 동북아 오일허브 현황과 시사점을 집중 조명한다.
정부의 동북아 오일허브 구축 계획은 석유시장의 패러다임 변화라는 배경이 깔려 있다. 최근 석유 시장은 고유가 형성과 가격 변동폭이 점점 커졌다. 세계 각국 자원 쟁탈전도 점점 과열되는 모양새다. 동북아 석유시장은 세계 석유 수요의 19%, 수요 증가분의 50%를 차지하며 다른 지역에 비해 급성장했다. 3대 오일허브 중 하나인 싱가포르 오일허브와는 다른 새로운 오일허브 필요성이 커졌다.
싱가포르 오일허브는 한계가 뚜렷하다. 동북아 석유시장 거점 역할을 위한 제4 오일허브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 우리 정부 목표다. 중국·일본·러시아 3국 중심에 위치한 지정학적 위치와 세계적 규모의 정제 공장을 보유해 천혜의 항만 조건 등 따져볼 때 한국은 동북아 오일허브로서 매력적인 입지 조건을 가지고 있다. 중국의 경우 우리와 유사한 경쟁력이 있지만 해안가 수심이 얕고 동절기 결빙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일본은 지정학적 한계에 자연재해 문제가 크게 작용한다.
정부는 여수에 들어선 820만배럴 저장시설과 울산에서 건설 중인 990만배럴의 북항 저장시설, 1850만배럴 규모의 남항 저장시설에 더해 2000만배럴의 정부 비축시설 대여로 모두 5660만 배럴의 석유물류 인프라를 조성할 계획이다.
오일허브가 단순히 석유 저장기능을 넘어 트레이딩과 금융허브로 성장할 수 있도록 규제 개선 작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14개 개선과제 중 1개 과제가 완료되고 13개 과제가 정상 추진 중이다. 정부는 규제 개선을 통해 석유정제업 저장시설 등록요건을 완화하고, 보세구역 내 부가가치활동 허용과 석유거래업 신설하는 등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물론 미래 동북아 석유시장 불확실성 우려도 있다. 중국의 석탄화학 산업 성장과 자국 내 정유사업 확대, 일본의 원전 재가동에 따른 발전 난방용 수입 감소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정부는 잠재적 위협보다는 동북아 시장에서 전반적인 수요 증가와 오일허브 실현 가능성의 기회 요인이 더 크다고 보고 있다. 한국석유공사 관계자는 “동북아 석유시장의 트렌드와 우리나라의 입지적 여건을 볼 때 지금이 동북아 오일허브 성공의 적기”라며 “동북아 물동량에 특화된 비용 효율적이며 편리한 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석유 트레이딩 및 금융허브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오일허브 발전의 4단계 / 자료:한국석유공사>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