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북한 전력현황

Photo Image

북한은 한때 남한 전력의 70%를 책임질 정도로 전력 생산량이 넉넉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수도 평양마저 3일간 정전되는 전력 사정이 극도로 악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력소비 규모가 남한의 1968년 수준에 불과하지만 전력 공급을 맞추기가 힘든 상황이다.

평양은 무조건 전력을 공급하라는 당의 지시에 하루 세 시간 정도 전력 공급이 이뤄지지만 이마저도 전압이 100V 이하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전력산업 문제점은 에너지 과소비형 경제 구조에 기인한다. 중공업 우선정책으로 전체 산업이 에너지를 많이 쓰는 형태인 것이다.

반면에 실제 가동하는 화력발전소는 여덟 개 정도로만 추정되며 설비용량 204만㎾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마저도 모두 개보수 대상이며 전체 발전 설비 중 56%가 1970년대 준공한 노후설비다. 전체 발전 설비의 77% 수준인 351만㎾는 가동한 지 20년이 넘었다. 가장 최신 설비가 1996년 12월 준공한 발전소로 설비용량이 15만㎾로 국내 화력발전소 한 기 용량의 3분의 1에도 못 미친다.

전체 설비 용량도 2012년 기준 722만㎾로 남한의 12분의 1에 불과하다. 노후설비로 실제 발전량은 절반 수준으로 24분의 1에 그친다. 게다가 수력발전이 426만㎾로 발전비중이 60%가 넘는다. 수력발전은 수자원이 한정돼 있어 지속적인 발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난 1995년과 1996년에 이은 대홍수로 수력발전설비의 85%가 훼손됐다.

1지역 1발전소 정책으로 송전선로 건설이 부진해 전국적으로 전력을 융통해 쓰기 어렵다. 우리나라처럼 남쪽에 있는 발전소 전기를 서울에서 쓸 수 없다는 것이다. 비접지 방식으로 송배전 손실률이 20~30%에 달해 생산한 전력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전력난이 심각해지자 북한 내에서는 12V 태양광 충전기가 불티나게 팔린다고 전해진다. 가정용 전자제품이나 조명도 12V로 교체하고 있다. 전력 부족 원인은 석탄과 수력에 한정된 에너지원을 다양화하는 데 실패해서다. 남한에서 지원한 경수로원전건설사업(KEDO)이 무산된 데다 석탄 공급도 1990년에 비해 42.1%에 불과할 정도로 줄었다. 석탄 공급이 줄어들자 저질탄을 그대로 사용해 발전효율 저하는 물론이고 설비 고장도 잦아졌다. 가뭄으로 인해 주력 발전방식인 수력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남북한 전력현황 비교

[이슈분석]북한 전력현황

유창선기자 yuda@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