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회장 이부섭)가 소속 회원에게 과학교육 축소 반대에 동참해달라는 호소문을 보냈다. 교육부의 과학교육 축소 움직임을 강한 어조로 비판하며 내부 여론 결집에 나섰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408/597716_20140824125650_005_0001.jpg)
과총은 지난 22일 소속 회원에게 보낸 e메일에서 ‘과학교육을 지켜주십시오’라는 제목의 호소문을 내고 동참을 호소했다. e메일에는 기초과학학회협의체가 교육부에 보낸 공문, 과학교육 축소 관련 언론 기고와 기사도 첨부했다.
과총은 호소문에서 “교육부가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기반을 위협한다”며 현재의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 방향을 강하게 비판했다. 구체적으로 “개정안은 모두 일방적으로 과학만 축소한다”며 “고등학교 수학 교육을 현행 문과 수준으로 단일화하겠다는 안도 제시한다”고 밝혔다.
개정 논의가 시작된 후 지금까지 교육과정 개정 연구위원회, 한국교육과정학회 등에서 나온 개정안 대부분은 과학과목 비중을 30% 이상 축소했다.
과총은 과학교육 약화를 국가경쟁력 손실로 규정한 뒤 “여러분이 각자의 연구와 교육에 몰두하느라 초중등 교육에 침묵을 지키면 국가의 미래는 어두워진다”며 “관계 요로에 여러분의 의견을 전달해달라”고 당부했다.
교육과정 개정을 주도하는 정책 라인의 인적 구성도 도마에 올랐다. 김재춘 청와대 교육비서관, 박제윤 교육부 창의인재정책국장 등 주요 당국자 실명이 거론되기도 했다. 과총은 이들 당국자와 교육과정 개정 연구위원 대다수가 모두 교육학, 교육과정학 전공자라고 지적했다.
이를 근거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교육과정을 일부 부적절한 교육학자가 결정한다”며 “이들은 국가 교육과정을 결정할 자격도 역량도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호소문에는 과총뿐만 아니라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공학한림원, 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대한변리사회, 산학협력단장협의회 등 25개 단체가 이름을 올렸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