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사업청과 미래창조과학부는 민군협력기술 개발 사업에 5년간 296억원을 투자한다. 올해 5개 프로젝트를 선정, 9월 착수한다.
방사청과 미래부는 9일 이 같은 내용의 민군기술협력 확산과 상호협력을 위한 공동업무협약서(MOU)를 교환했다. 두 기관은 미래전을 대비해 신시장 창출형 기초·원천기술 개발확산을 위해 지난 2월부터 국장급 정책협의체를 가동했다. 국방과학연구소, 정부출연연구소 등이 참가하는 과제발굴 특별전담 조직도 운영했다.
올해 △저속 원자물질파 발생 기술 △대전력 전원시스템 소형화 기술 △초고속 수중운동체 기술 △수중음향 영상화 기술 △미래소재 기술 등 5개 프로젝트, 13개 세부과제를 추진한다. 방사청이 25억7500만원을, 미래부가 25억원을 투입한다. 이달 중 공고하고 주관연구기관 선정평가 등을 거쳐 9월 기술개발을 시작한다.
중장기 중·대형 민군협력사업을 발굴하기 위해 사전 기획연구도 진행한다. 부처 공동 사업도 추진한다. 기존 민군기술협력은 단기간에 실용화가 가능한 응용·시험연구 분야가 중심이었다. 그러나 이번 협약으로 기초연구분야에서도 민과 군의 협력으로 성과를 이끌어 낼 것으로 기대한다.
이용걸 방사청장은 “민군기술협력 활성화를 위해 기술교류, 민군기술협력 실무협의회 등을 운영, 국방과학연구소와 정부출연연구소 간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목 미래부 제1차관은 “군과 정부출연연구소, 대학 연구자의 창조역량을 접목해 국방과학과 경제가 도약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