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그래핀 위에 성질이 서로 다른 나노 회로를 그릴 수 있는 나노 화학펜 기술을 개발했다. 다양한 기능을 갖춘 복합 센서와 그래핀 기반 전자 소자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406/571025_20140609154017_169_0001.jpg)
박배호 건국대 물리학부 교수팀은 공기 중에서 전압이 걸린 원자간힘 현미경의 나노탐침을 이용해 그래핀에 원하는 부분만을 산화·수소화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원자간힘 현미경은 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탐침과 시료 표면 원자 사이의 반발력을 이용해 물질 표면을 보는 현미경이다. 연구진은 시료 표면 원자를 검출할 때 쓰는 이 탐침을 그래핀 위에서 펜처럼 활용했다. 펜으로 그림을 그리듯 선택적으로 산소나 수소를 흡착시키는데, 전압 세기에 따라 그래핀의 화학적 상태도 조절할 수 있다.
그래핀에 산소나 수소를 결합시켜 전기적·화학적 성질을 바꿔주면 복합 센서를 만드는 등 그래핀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다만 이 산화·수소화 공정이 어렵고, 기존에는 그래핀 특성을 세밀하게 조절하기도 어려웠다.
연구팀이 개발한 방법을 이용하면 나노 단위의 정확도로 원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 나노탐침을 이용했을 때 그래핀 표면의 산화·수소화 정도도 기존 방식보다 높았다.
박 교수는 “결과를 응용해 그래핀 각 부분의 산화 상태를 서로 다르게 만들면 복합 기능을 갖는 그래핀 기반 나노 집적 소자를 만들 수 있다”고 밝혔다.
여러 개의 탐침으로 동시에 그래핀을 산화·수소화해 대량생산 체계를 만드는 것이 실용화 과제로 제시됐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의 리더연구자지원사업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NPG 아시아 머터리얼스’ 5월 23일자에 실렸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