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글로벌 이동통신 사업자는 스마트폰 열풍으로 단말기 가격 상승, 보조금 증가, 수익성 악화라는 공통된 문제에 직면했다.
30개 글로벌 이통사 실적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매출 대비 보조금은 14%에서 18%로 증가한 반면, 수익성은 2%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글로벌 이통사가 보조금 부담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는 이유다.
이들의 보조금 절감은 보조금 폐지를 비롯 고가폰 임대, 데이터 요금제 전환 등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스페인 텔레포니카와 미국 T모바일은 보조금 자체를 폐지했다.
텔레포니카는 지난 2012년 3월 보조금 제도를 폐지하고, 신규 가입자에게 단말 할부지원제도(3~18개월)를 도입했다.
T모바일도 지난해 보조금 요금제를 전면 폐지하고, 동일 조건의 요금제보다 저렴한 요금제로 통합했다.
호주 텔스트라도 일시 보조금을 폐지하고 ‘모바일 리페이먼트 옵션(MRO)’ 제도를 도입, 매월 요금 할인 효과를 내도록 했다.
단말기 소유대신 임대 모델을 통해 단말 구매 방식 변화를 도모하는 사례도 있다. 영국 보다폰은 최신 고가 스마트폰을 12개월 임대하는 요금제를 도입했다.
일시 보조금 지급 모델을 유지하는 대신 데이터 중심으로 요금제를 전환해 수익기반을 강화하는 시도도 이어지고 있다.
미국 버라이즌과 AT&T는 각각 ‘쉐어 에브리싱’ ‘모바일 쉐어’라는 완전 데이터 요금제를 출시했다. 보조금은 유지하더라도 데이터 이익으로 수익기반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글로벌 이통사는 우리나라와 달리 일시적 단말 보조금과 요금할인을 중복 제공하지 않는다는 게 공통점이다.
또, 보조금 폐지 사례가 늘고 있고, 보조금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유통 모델을 도입하고 있다.
이는 복잡하고 과다한 보조금으로 인한 투명성 저해를 차단하고, 과도한 단말 교체를 방지하기 위한 포석이다.
김원배기자 adolf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