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설립으로 우리나라는 600조원의 경제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경영경제학회는 지난 21일부터 이틀간 울산과학기술대학교에서 열린 ‘2014 동계학술대회’에서 마련한 ‘지난 50년의 한국경제발전에 있어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역할 및 앞으로 50년의 과제’라는 특별 세션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402/534025_20140223161541_989_0001.jpg)
학회 연구책임자인 이병헌 광운대 교수와 기술경영컨설팅기관인 날리지웍스가 공동 수행한 ‘KIST의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분석 연구’에 따르면, KIST의 지난 47년간 총 파급효과를 595조원으로 평가됐다. 이는 논문 및 특허 등의 지식스톡파급효과 199조8368억원을 비롯해 연구개발(R&D) 사업화 성과 181조1451억원, 정책적 파급효과가 213조8554억원 등을 합한 액수다.
특히 R&D 사업화를 통해 산업체 매출 성과에 크게 기여한 10대 대표기술로는 △가변용량 다이오드를 이용한 휴대용 TV 수상기 △푸시버튼 전화기 △염료합성기술 △컬러 TV 수상기 △고강도 아라미드 섬유기술 △지속성 복합비료 기술 △캡슐형 내시경 미로 △리튬복합 이차전지 원천 기술 △고효율 유기 태양전지 기술 △치매 치료제 기술이 선정됐다.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