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와 갈등으로 철거위기를 처했던 세계 최대 규모 조류발전소인 울돌목 조류발전소가 재가동 된다.
전남도는 16일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 얼이 서려 있는 울돌목에 설치된 조류발전소가 진도군의 공유수면 사용 연장조치에 따라 2018년말까지 가동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진도군은 지난해 10월, 5년간의 사용 기간이 만료됐다며 철거 명령을 내렸으나 최근 연장을 허가 했다.
이 발전소는 지난 2005년 착공, 4년여 공사끝에 2009년 5월 완공됐으며 143억 원이 투입됐다. 500㎾급 2기가 울돌목을 가로질러 설치됐으며 수면 위 발전시설을 포함해 가로 16m, 세로 36m, 높이 48m에 무게만 1000t 규모로 세계 최대다.
조류발전소는 빠른 물살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신재생 에너지 시설로 세계적으로 노르웨이 등 유럽 일부에서만 개발이 추진중이다. 해남과 진도를 잇는 울돌목은 해협 폭이 300여m로 유속이 초당 4.8∼6.2m로 국내 해협 중 가장 물살이 빠른 곳 중 하나다.
울돌목 발전소는 400여가구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규모(1천㎾급)로 시험운영 뒤 증설을 거쳐 올해부터 9만㎾의 전기를 생산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지난 2011년 조류발전소 실용화 용역결과 기술 우수성은 인정되지만, 사업 경제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면서 연장 필요성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 또 해상안전사고 위험, 녹진관광지 경관 저해, 주민반발 등이 일면서 진도군이 연장을 불허했다.
앞서 전남도도 발전소 철거 지시를 통보했다. 이 과정에서 사업 시행처인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제2차 국책사업인 능동제어형 기술개발(260억원) 사업 시행 등을 이유로 사용 연장을 강력히 주장하는 등 갈등을 빚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2억5000만 원을 들여 시설물 태풍피해복구, 고장 발전기 수리 및 외관경관 복구 등을 약속, 사용 연장을 이끌어냈다. 광주=서인주기자 si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