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김종경)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가 10일 0시를 기해 운전 3000일(7만2000시간, 8.2년)을 기록했다.
7만 2000시간은 하나로가 지난 1995년 2월 8일 첫 임계(원자로에서 외부 도움 없이 핵분열 연쇄반응이 지속되기 시작하는 현상)에 도달해 운전을 시작한 지 약 19년 만이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402/529380_20140210171736_849_0001.jpg)
하나로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자력으로 설계·건조한 열출력 30㎿급 고성능 다목적 연구용 원자로다. 지금까지 1015개 기관 7755명의 연구자들이 이용했다.
하나로 운전 사이클은 보통 6주로 구성돼 있다. 그 가운데 4주를 가동하고 2주는 재정비기간이다. 또 매년 여름 1~2개월 정기 검사를 실시했다. 이외에 하나로 사고로 백색비상 등이 발령된 기간과 보수 기간을 산정했다.
그동안 비파괴 검사, 정량 측정기기 등 산업용 방사성 동위원소 168만2000퀴리(Ci·방사능 방출 단위), 암진단 및 치료 등 의료용 동위원소 1만2000퀴리를 각각 생산했다. 이는 국내 수요량의 70%에 해당한다.
보통 암 환자 1명에게 100밀리퀴리(mCi)를 사용한다고 볼 때 지금까지 12만3000여명이 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의 혜택을 입었다.
활용범위는 발전용 핵연료 및 노(爐)재료 조사시험을 비롯한 방사성 동위원소와 규소 반도체 등 산업 및 의료제품 생산, 중성자 빔을 이용한 기초연구 및 첨단 소재개발 등이다.
하나로가 발생시키는 중성자 빔은 물질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성을 변형시켜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낸다. 수소연료전지나 엔진배부, 토양 속 인삼뿌리, 항공기 부품, 폭발물, 문화재 등을 파괴하지 않고 내부 정보나 결함을 확인할 수 있어 중성자를 이용한 비파괴 검사를 국내외 연구자들에게 개방하고 있다.
지난 2010년 완공된 `냉중성자 연구시설`은 나노 및 바이오 연구를 위한 핵심 기술인 측정과 분석에 이용되고 있다.
산업용 소재의 수명과 직결되는 `잔류응력`도 하나로의 중성자 잔류응력 측정 장치로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원자력 및 기계부품 산업에 활용되는 인코넬 튜브, 스테인리스 스틸 용접 시편 등의 잔류응력 측정이 이뤄지고 있다. 지난 2011년 80㎜ 두께의 대형 선박용 간판의 잔류응력 측정에 성공해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외에 중성자 도핑을 이용한 고품질 반도체 생산, 질병진단 및 암치료용 동위원소 개발 등에 기여했다.
임인철 연구로이용연구본부장은 “지난 2009년 하나로를 모델로 하는 연구로를 요르단에 수출했다”며 “최근엔 말레이시아 연구로 개조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네덜란드·남아공·사우디 등 신규 연구로 건설 사업 수주를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