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자국 전자산업 육성 빌미로 해외 IT제품 규제하나

인도 정부가 올해 자국 전자산업을 육성하려는 목적으로 해외 IT제품 수입 규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시행 여부를 둘러싸고 외신 전망이 엇갈리는 가운데 가시화된다면 우리나라 전자 업계에도 적지 않은 타격이 불가피하다.

14일 인도 힌두비즈니스라인에 따르면 인도는 무역적자를 줄이고 전자제조업을 육성하고자 지난 2012년부터 정부기관에 한해 자국에서 일부라도 생산된 IT제품만 구매하도록 한 데 이어 올해에는 민간 기업까지 정책을 확대할 방침이다.

올해부터 휴대폰과 평판 TV, 태블릿PC 등 국내 기업 수출이 많은 25개 주요 전자제품의 자국 내 제조를 독려하겠다는 것이다.

인도는 근래 전자제품 수입 급증으로 무역적자가 확대되고 있다. 오는 2020년 전자제품 수입 규모가 3000억달러에 이르러 원유 수입액을 앞지르며 경상수지 적자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상황이다.

인도는 특히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지만 전자 하드웨어 제조는 낙후됐다. 중국, 미국에 이어 세계 3위 소비 시장이지만 전자산업 자국 생산 비중은 2%에 미치지 못한다. 인도는 최근 전자제품 설계와 생산(ESDM) 글로벌 허브가 되려는 비전을 세웠다. ESDM은 자국 산업 육성은 물론이고 안보와 방위, 통신, 전력, 철도, 항공 등 많은 분야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J 사타안아라아나 전자정보통신부 차관은 “인도에서 25개 품목 일부나 전체 제품을 만들면 경제적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며 “올해 말 전체 인도 전자업계에 큰 변화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인도가 전자제품 제조허브가 되기 위해 정책을 실행해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인도가 당장 해외 IT기업 제품 수입을 규제하기 힘들 것으로 내다봤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인도 정부가 글로벌 정보통신기업 반발로 `바이 인도(Buy Indian)`라 불리는 이 정책을 수정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인도 정부는 이에 대해 어떤 공식 발표도 하지 않았다.

인도는 지난해 일부 수입 무선통신기기에 17.5% 관세 부과 정책을 내놓는 등 자국 정보통신 제품 생산 촉진과 수입 의존도를 낮추는 정책을 연이어 내놓은 바 있다.


김인순기자 inso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