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당 평균 보유자산 3억2557만원, 부채는 5818만원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부채 유형별 가구당 보유액 및 보유가구 비율

금융부채를 보유한 10가구 중 7가구가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봤으며, 이 중 8%는 대출금 상환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경제 뇌관으로 가계부채 증가가 또다시 재연될 조짐이다.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은 전국 2만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3년 가계금융·복지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가구는 자산이 거의 정체돼 늘어나지 않은 반면에 부채는 7%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5%정도 늘었지만 소비지출은 전년 수준이어서 가계가 지갑을 잘 열지 않고 있는 모습이었다. 가계부채가 많은 데다 처분가능소득의 20% 가까이를 원리금 상환에 쓰고 있기 때문이다.

2013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가구당 평균 보유자산은 3억2557만원으로 전년 대비 0.7% 증가에 그쳤다. 반면에 부채는 5818만원으로 6.8% 급증해 순자산은 0.5% 감소했다. 평균소득은 4475만원, 지출은 3137만원으로 1338만원 흑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경상소득에서 비소비지출(경직성 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3645만원으로 4.9% 늘어난 반면에 소비지출은 2307만원으로 0.2% 증가에 그쳤다. 소득은 늘었지만 지출은 제자리 수준이다.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부담뿐 아니라 연금, 사회보험료, 세금 등 비소비지출도 830만원으로 9.6%나 급증해 소비심리가 악화됐다.

부채지표도 대부분 악화일로다. 부채보유가구 비율은 66.9%로 전년 대비 1.8%포인트 증가했다. 소득계층별로 부채는 상위 20%인 5분위 가구만 소폭 감소했고 1~4분위 가구는 모두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지난해보다 2.8%포인트 늘어난 108.8%를 기록해 금융부채가 처분가능소득보다 많았다. 원리금 상환액은 709만원으로 전년 대비 18.9%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도 2.3%포인트 증가한 19.5%를 기록했다. 쓸 수 있는 소득 중 5분의 1을 원리금 상환에 쓰기 때문에 소비할 수 있는 돈은 가처분소득의 80%정도에 머물렀다.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중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는 70.2%로 전년에 비해 2.0%포인트 높아졌다. `가계부채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다`고 응답한 가구도 8.1%로 역시 전년에 비해 1.0%포인트 증가했다.

전체 가구의 69.7%는 3억원 이하의 순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순자산 3억~10억원인 가구는 26.9%, 10억원 이상인 가구는 4%였다. 순자산이 마이너스인 가구는 3%였다. 가구당 자산은 금융자산 26.7%(8700만원)와 실물자산 73.3%(2억3856만원)로 금융자산 비중이 전년 대비 1.5%포인트 늘었지만 여전히 부동산 등 실물자산의 비중이 높았다.

가구소득 증가 또는 여유자금 발생 시 주된 운용 방법으로는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가 47.8%, `부동산 구입` 23.9%, `부채 상환` 22.5%였다. 이에 따라 앞으로 금융자산 비중이 조금씩 늘어날 전망이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자산은 전체의 46.3%, 순자산은 전체의 60.4%를 차지해 부의 편중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3월 말 현재 평균 자산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 울산, 경기로 나타났다. 서울은 4억5253만원으로 1위를 차지했고 경기가 3억9140만원, 울산이 3억3026만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최하위는 강원(2억3814만원), 전북(2억2365만원), 전남(2억321만원)이었다.


부채 유형별 가구당 보유액 및 보유가구 비율 (자료:통계청)

가구당 평균 보유자산 3억2557만원, 부채는 5818만원

길재식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