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경 3D TV시대, 내년에 점화한다`
내달 9일 지상파 3D 방송 시작을 앞두고 무안경 3DTV 상용시점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미 수년전부터 국제전시회 등에서 무안경 3DTV를 공개한 기업은 많지만 아직 상용화한 곳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산업계는 3DTV의 본격적인 확산을 위해서는 무안경 3DTV가 나와야 한다는 분석이다. LG전자 고위 관계자는 “3DTV의 문제점으로 `안경`이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다”며 “무안경 3DTV는 훨씬 기회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무안경 3DTV 기술 수준은 많이 올라왔다. 과거에는 입체감도 떨어졌고 위치만 바깥쪽으로 옮겨도 초점이 맞지 않는 문제가 있었지만 지금은 많이 개선됐다. LG디스플레이가 만든 무안경 3D 디스플레이는 상용화할 수 있는 수준까지 다다른 것으로 알려진다.
문제는 시장성과 콘텐츠다. 단적으로 최근 TV는 사이즈가 커지면서도 두께는 얇아지고 있지만 무안경 3DTV는 기존 3DTV보다 두껍고 무게도 많이 나간다. 좌우영상을 TV 자체에서 분리해 보여줘야 하는데 이 때 액정 셀로 제작된 렌즈나 볼록렌즈같은 시트를 붙여야 하기 때문이다. 몇 ㎜ 때문에 두께 경쟁을 하는 마당에 두꺼운 TV는 시장의 환영을 받기 힘들다.
여기에 콘텐츠도 걸림돌이다. 기존 3D 콘텐츠를 무안경 3DTV에서 보기 위해서는 추가 변환 작업이 필요하다. 3DTV는 두개의 영상신호 이미지를 분리해 입체감을 주는데 반해 무안경 3DTV는 다수의 영상신호 이미지로 입체감을 제공한다. 한 TV업체 관계자는 “3D 방송 콘텐츠를 무안경 TV에서 보도록 변환하는 솔루션의 가격이 TV 가격에 맞먹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패널 두개에 변환 솔루션까지 들어간다면 시장 요구에 맞는 가격으로 제품을 내놓기가 힘든 상황이다. 기술 수준은 올라왔지만 시장성이 떨어지는 셈이다.
이 때문에 가정용 TV보다는 상업용 디스플레이 시장이 먼저 열릴 것이라는 전망이다. 무안경 3D TV 시제품을 공개한 스카이미디어는 B2B(무안경 3D 상업용 디스플레이) 시장에 초점을 두고 있다. 현재 10.1인치 무안경 3D 디스플레이로 시장을 타진하고 있다. 소동수 스카이미디어 대표는 “광고 디스플레이 경우 안경을 쓰고 볼 수 없기 때문에 무안경 3D 디스플레이의 잠재력이 크다”며 “현재 몇 개 업체와 제품 공급 관련 협상중에 있어 조만간 가시적인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스카이미디어는 10.1인치를 시작으로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크기를 계속 키워 나갈 계획이다.
김준배·문보경기자 j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