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부터 분산 운영 중인 CCTV 관제, 교통·시설관리를 U시티 통합 운영센터로 일원화 해 U시티 사업을 활성화 한다. 국내 기술로 개발한 U시티 비즈니스서비스플랫폼(BSP) 보급도 확산한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제2차 유비쿼터스도시 종합계획`을 최종 확정했다고 3일 밝혔다. 2차 U시티 종합계획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적용된다. U시티 제도 마련과 핵심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둔 1차 U시티 종합계획은 지난 2009년 시작해 올해 마무리한다.
2차 U시티 종합계획에 따라 정부는 먼저 국정과제인 국가안전망 구축에 역점을 둔다. 방범·방재, 교통, 시설물 분야 등을 핵심 U시티 서비스로 중점 구축한다. 분산된 CCTV 관제센터와 교통·시설관리를 통합, U시티 운영센터에서 관리하도록 한다.
U시티 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 비용절감형 U시티 모델을 개발, 도시재생 사업과 연계한다. U시티 구축 비용을 줄이기 위해 국내 기술로 개발한 통합플랫폼인 BSP를 확대 보급한다. 급속도로 변화하는 U시티 기술 개발에 지속적인 투자도 한다. U시티 정보의 개방·공유와 표준화로 민간업체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 다양한 수익모델을 개발한다.
U시티 전문인력도 양성한다. U시티 관련 석·박사 과정과 취업자 과정을 지속적으로 지원, 수료생 대상으로 U시범도시사업의 인턴기회를 제공한다. 건설업체의 해외진출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U시티 글로벌 시장참여도 확대한다. 국내기업 지원과 해외진출 관련정보를 축적, 제공한다. U시티 기술의 국제표준화도 적극 수행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2차 종합계획은 그동안의 U시티 추진정책을 진단하고 향후 5년간 U시티 추진과제를 제시한 것”이라며 “관련 역량을 결집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