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창업 필수 조건은 자본과 기술이었다. 적어도 두 가지 중 하나는 확실하게 갖춰야 창업 후 실패를 피할 수 있다고 여겼다.
뒤집어보면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가 있어도 자본이 없거나 독보적인 기술을 확보하지 못하면 창업에 나서기 힘들다는 뜻이다. 이는 곧 상대적으로 자본과 연구개발(R&D) 역량이 부족한 청년 창업을 가로막는 걸림돌로 작용했다.
이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나온 것이 비즈니스아이디어(BI) 기반 창업이다.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아이디어를 보유한 누구나 창업을 통해 사업화와 상품화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아이디어만 있는 자와 아이디어는 없지만 자금·지식·노하우 등 유무형 인프라를 가진 자를 상호 연계한다. 아이디어를 지닌 자가 직접 창업에 나설 수도 있고, 투자자가 좋은 아이디어에 자금을 지원하는 형태로 창업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영희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기술사업화단장은 “창의적인 BI를 손쉽게 사업화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면 새로운 창업 기회가 열리고, 일자리 창출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을 비롯한 해외에서는 BI 사업화를 수익 모델로 한 민간 전문기업이 활발하게 활동할 정도로 이미 보편화됐다. 우리 정부도 BI 기반 창업과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관련 정책을 구체화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BI 사업화 종합 대책인 `BI산업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전자부품연구원(정보기술), 이디리서치(가전), 울산테크노파크(에너지), 마크프로·충북테크노파크(바이오헬스) 등 10개 업종별로 BI 사업화 지원기관을 지정했다. 이들 기관은 특허 선행조사, 아이디어 지식재산권화, 사업계획서 작성, R&D 기관 중개, 투자 연계 등을 지원한다.
내년까지 1000명에 이르는 `BI 코치`도 양성할 계획이다. BI 코치는 BI 발굴에서 평가, 비즈니스모델(BM) 개발, 사업화에 이르는 체계적인 교육 과정을 거쳐 배출된다.
중소기업청은 `무한상상 국민창업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국민 누구나 자신의 상상력과 아이디어를 온라인 기반 사업화 플랫폼에 제출하고, 창업과 사업화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창업 아이디어로 선정되면 창업캠프를 통해 창업교육, 역량진단, BM 개발 등의 기회를 제공받는다. `사업계획서 실현성 및 창업자 역량평가`를 통해 최고 5000만원까지 창업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받을 수도 있다.
중기청은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지속적인 아이디어 발굴과 기존 기술·생산시설 융합을 통해 전 국민의 자발적 창업 분위기를 촉진하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