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중국발 리스크, 중일 협력이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 포위

디스플레이도 중국발 리스크 덮치나

중국 패널 업체들의 성장 이면에는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존재한다. BOE도 정부로부터 융자를 받아 공격적인 투자를 감행한다. 특히 산화물반도체(옥사이드)나 능동형(AM)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처럼 첨단 기술에 대한 투자에 적극적이다. 지난 1월만 해도 BOE는 중국국가개발은행주식유한공사 북경지점과 `개발금융 협력협의`협약을 체결했다. 이 협약에 따른 융자 규모 총액은 약 200억위안(약 3조 6500억원)에 달한다. 이 외에도 각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금액도 엄청나다.

이렇듯 돈은 중국 패널 업체들에게 큰 걸림돌이 되지 않는다. 문제는 기술이었다. 하지만 이 마저도 일본이라는 든든한 지원군을 얻어 해결할 수 있게 됐다.

CEC-판다는 샤프와 손잡고 난징 8세대 신규 라인에서 오는 2015년부터 대면적 LCD를 생산할 예정이다. 게다가 CEC-판다는 난징시에 3000억엔을 투입해 건설 중인 8세대 신공장에서 산화물반도체 기술 중 하나인 이그조(IGZO) 방식의 패널을 생산키로 해 주목된다. 이를 위해 최근 샤프는 이그조 기술을 제공키로 하고, CEC-판다와 적극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소형 디스플레이 업체 중국 티안마는 일본 NEC의 기술을 들여오기도 했다. 티안마는 NEC의 기술을 도입해 소형 AM OLED 패널과 인셀 패널을 개발할 수 있었다.

일본내 설비 투자가 사라지면서 일본 장비 업체들도 중국 패널 업체들을 고객사로 확보하는데 적극적이다. 덕분에 중국 신규 라인은 일본 장비 업체들이 싹쓸이 하다시피 수주했고, 동시에 중국 패널 업체들도 선진 기술을 도입할 수 있었다.

업계는 중국·일본의 협력이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에 적지 않은 위협 요인이 될 것으로 관측했다. 이트레이드증권 전병기 연구원은 “일본 기술과 중국 자본력이 합쳐진다면 한국은 포위 상태에 들어갈 수도 있다”면서 “특히 대만까지 가세해 3국이 공통 이해관계를 위해 압박해 올 상황을 염두에 두고 긴장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