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문구로 허위 과장 마케팅을 벌이는 속칭 짝퉁 친환경 제품에 대한 교통정리 추진된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녹색 위장제품`(이하 `그린워싱`, Green Washing)에 대한 국내외 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그린워싱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그린워싱`은 `그린(Green)`과 `화이트 워싱(White Washing)`의 합성어로, 기업의 경제적 이윤을 목적으로 친환경적 특성을 허위 과장해 상품을 광고 또는 홍보하거나 포장하는 등의 행위를 말한다.
이번 조치는 친환경제품 구매가 증가로 관련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구심과 불신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추진됐다.
2010년과 2012년 실시한 환경산업기술원의 조사에 따르면 친환경제품의 구매경험이 39.6%에서 56%로 증가한 반면, `믿을 수 없다`는 응답자도 4.3%에서 8.4%로 늘었다. 지난해 한국소비자원 조사에서도 녹색관련 표시를 한 제품 중 46%가 허위과장 표현을 하거나 중요정보를 누락한 것으로 확인되는 등 심각한 문제가 드러났다.
이번 실태조사는 친환경마케팅이 활발한 세제류, 목욕용품, 화장지류, 가공식품, 유제품류 등 온오프라인 유통매장 등 다양한 유통채널에서 판매되고 있는 생활용품 중심으로 추진된다.
소비자와 생산자 대상으로 녹색위장제품에 대한 인식 수준 조사도 병행될 예정이다. 환경부와 환경산업기술원은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애매모호한 환경성에 대한 표시나 광고에 대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그린워싱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다. 가이드라인에는 녹색위장 제품의 유형, 사례, 관련 주요용어, 판단기준 등이 자세히 수록될 예정이다. 소정의 교육을 거친 모니터링 인력이 녹색위장 여부를 잠정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별도의 모니터링용 가인드라인도 개발될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친환경 이미지만으로 경제적 이익을 보는 기업의 불공정 행위를 바로잡아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며 “관련 법령 개선과 소비자교육 등의 종합적인 대책을 단계적으로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