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우편서비스에 빅데이터를 처음 도입한다. 대체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위협받는 우편서비스 사업을 활성화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기 위한 조치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우정사업정보센터(이하 센터)는 최근 `우편서비스 빅데이터 기반 마련 및 활용` 사업을 발주했다. 센터는 우정사업 전반의 전산시스템 구축·운영을 담당하는 미래창조과학부 우정사업본부 산하기관이다.
이번 사업은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보전략계획(ISP) 수립과 구체적인 실현전략 도출에 초점을 맞췄다. 소비자 구매 성향 등을 수집·분석해 결과를 보여주는 사용자환경(UI) 개발도 포함됐다. 이달 사업자를 선정해 오는 11월까지 사업을 마무리한다. 도출 결과를 검토해 사업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내년 본격적인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세부 사업은 △컨설팅 △외부 분석업체를 통한 외부 동향 분석 △내부 분석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시범환경 구축 △소프트웨어(SW) 운용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기술전수와 교육기회 제공 등으로 구성됐다.
센터는 내외부 데이터를 분석해 목표과제를 도출한다. 목표과제 수행을 위한 상세 제안요청서(RFP) 수준의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 방안을 마련한다. 2개 이상의 과제를 선정해 애플리케이션서비스업체(ASP) 등을 통해 실현가능성 검증에 나선다. 미래부가 구축 중인 빅데이터분석·활용센터와의 협력도 검토한다.
센터는 빅데이터 시스템 도입으로 소비자 맞춤형 우편서비스 등 차별화된 사업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소비자 만족도를 높여 이탈을 예방하고 매출·물량을 확대할 방침이다. 최종 목표는 `우편서비스 미래가치 창출과 경쟁력 강화`로 설정했다.
센터 한 관계자는 “전체 우정사업 중 우편서비스를 빅데이터 도입에 있어 가장 적합한 분야로 판단했다”며 “이번 과제 수행 결과 빅데이터 시스템 도입에 문제가 없다면 내년부터 구축사업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