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강국 기술 대국]과학의 달…함께 나누는 과학

영국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은 `과학이 없었으면 민주주의도 불가능했다`고 했다. 과학자가 인류애를 바탕으로 하는 진정한 민주주의를 구현하고, 인정이 넘치는 세상을 만드는 일에 앞장서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Photo Image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선발한 `제8기 대학생 과학 나눔 봉사단`의 울산대 봉사단원들이 경기도 성남시 낙생초등학교에서 학생들과 함께 만든 전자기타를 연주해 보고 있다.

과학 대중화에 있어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과학 나눔이다. 그동안 과학은 유능한 과학자를 양성하고, 과학에 대한 우호적인 사회 환경을 만들기 위한 것에 한정됐다. 과학교육을 강화하고, 과학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한 노력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 때문에 과학기술의 사회 참여가 아주 소극적인 수준에 머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발전과 투자는 사회적 관심과 동떨어져 존재할 수 없다. 특히 최근 과학기술이 우리 일상의 일부로 들어와 큰 변화를 일으키면서 이 같은 필요성은 더 절실하다.

이제 과학자는 다양한 사회적 갈등과 격차 해소에 직접 기여해야 한다. 사회봉사와 재능의 사회 환원도 필요하다. 상당한 수준의 과학 상식과 합리적 사고방식이 필요한 복잡한 사회 문제 해결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원자력 문제나 불산 유출사건 등 우리 일상에서 일어나는 무지에 의한 혼란과 사회문제를 과학기술이 적극적으로 풀어나가야 한다. 과학기술의 역할은 궁극적으로 사회, 국가, 인류를 위해 공헌해야 한다. 정확한 과학지식과 합리적 사고방식을 통해 진정한 삶의 평화를 이어가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우리 사회 전체의 균형적인 발전과 소외받는 계층을 위해 한 발 더 나아가야 한다. 미국에서는 성별·인종·지역에 따라 과학소통에 차이가 있다고 보고 이를 완화하기 위한 사업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여성과 소녀를 위한 프로그램`, 소수민족을 위한 `과학과 일상경험 계획` 등 다양한 성공 프로그램들을 찾아볼 수 있다.

일본도 동일본 대지진 이후 과학기술정책을 사회공공정책의 일환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과학기술발전과 재난·재해 등 사회문제와 연계된 활동을 추진한다. 과학과 사회의 대화 및 지구 미래 대안 모색을 위한 `STS포럼(교토포럼)` `사회기술 연구개발센터(RISTEX)` 운영, 정부와 시민사회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전망-학술로부터의 제언` 프로젝트 등 다양하다.

유럽도 과학기술의 사회적 참여확대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중국도 과학보급 자원봉사 제도나 지역과학보급을 통한 민생 유익 계획 등을 추진한다. 한국에서도 과학 나눔이 필요한 시점이다. 섬이나 산골 같은 소외지역이라든지 저소득층, 혹은 다문화가정 등 사회적으로 배려해야 할 계층들에게 공평한 과학체험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노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어린 학생뿐 아니라 노인층에까지 과학문화를 확산해야 한다는 주장도 일고 있다. 평생교육 시스템 등에 과학체험 프로그램을 도입해 전 국민이 과학을 사랑할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하자는 것이다.

이 같은 움직임은 과학기술의 이해를 넘어, 모든 국민의 과학 참여를 강조하기 시작한 최근 과학대중화 사업의 흐름을 말해주고 있다. 과학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국가발전을 위해 국민들 모두 과학을 이해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과학창의재단 등에서 과학 나눔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좀 더 큰 폭의 지원과 배려가 필요한 시점이다. 국내는 물론이고 우리나라의 위상에 걸맞은 다양한 해외 과학나눔 활동도 더 확대할 필요가 있다.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