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진원, 업무 이관에 지원 사업 줄줄이 스톱

3월도 막바지다. 예년 같으면 쏟아질 콘텐츠 정책 지원 사업이 주춤하다. 부처 소관이 바뀌는 사업을 중심으로 공고조차 못낸 사업이 수두룩하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기관인 콘텐츠진흥원 업무가 둘로 쪼개지면서 벌어진 일이다.

27일 문화체육관광부와 콘텐츠진흥원 등에 따르면 중소 콘텐츠 업체 기술 개발과 마케팅을 지원하는 사업이 줄줄이 늦춰졌다.

일례로 CG프로젝트 지원과 가상현실 콘텐츠 지원 사업은 지난해 2월 접수를 시작해 3월 마감했지만 올해는 공고조차 내지 못했다.

3D 입체영상, 스마트콘텐츠 해외마케팅, 차세대 콘텐츠 동반성장 지원 사업 등도 마찬가지다. 모두 문화부에서 미래부로 이관되는 업무다.

정부조직 개편으로 문화부와 미래창조과학부 간 이관 업무가 정해졌지만 산하기관 지침은 확정돼지 않았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미래부는 내달 1일 장관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조직이 정비되지 않아 산하기관까지 챙길 여력이 없다.

콘텐츠진흥원 관계자는 “진흥원은 문화부 위촉 업무를 맡아 수행하는데 미래부로 이관되는 일부 업무를 연속해서 맡아야 하는지 정해지지 않아 공고가 늦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지원 사업이 지연되면 졸속 처리 가능성이 높다. 민간 지원 사업은 사업계획을 확정한 후 공고를 내고 접수를 받는다. 이어 지원 대상을 선정하고 사업 평가 수순을 밟는다. 공고 기간이 충분하지 않으면 지원 대상 선정에 잡음이 생길 수 있다.

선정 대상도 시간에 쫓기면 성과를 내기 힘들다. 연말까지 평가가 다 이뤄져야 한다는 일정을 고려하면 정작 사업화 기간은 6개월 미만이다.

진흥원 관계자는 “정부가 지침을 확정하면 미래부 산하기관에 분리해 처리할 업무는 빠르게 처리해야 한다”며 “시간이 더 늦어지면 업무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문화부는 미래부 이관 업무를 콘텐츠진흥원이 신속하게 수행하는 편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문화부 관계자는 “정부 조직이 바뀐다고 산하기관의 민간 지원 업무가 변하는 것은 아니다”며 “소속 산하기관이 업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미래부와 협력해 조만간 지침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