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출범]창조경제를 이끄는 사람들

`정통관료와 해외파`

박근혜정부의 핵심 국정목표인 창조경제 구현을 앞장서 이끌 인물들은 정통관료와 해외파로 구성됐다. 우리나라 경제·산업의 현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 정통관료, 새로운 시각에서 정책 혁신을 견인할 해외파가 황금비율을 이뤘다.

Photo Image
현오석 경제부총리 내정자

◇5년 만에 복귀한 경제부총리=현오석 경제부총리 내정자가 경제 정책 전반을 책임진다. 현 내정자는 경제기획원, 재정경제부 출신으로 2000년 이후엔 한국무역협회, 한국개발연구원(KDI) 등에서 역량을 배가했다.

현 내정자는 창조경제 핵심 동력인 정보통신기술(ICT)에 관심을 보였다. 그는 지난 1월 전자신문이 주최한 IT리더스포럼 행사에 참석, “제조업이 누려오던 각종 정부 혜택을 서비스산업에 기반한 ICT에 돌려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현 내정자를 뒷받침할 조원동 청와대 경제수석 내정자에게도 눈길이 간다. 조 내정자는 재정경제부에서 잔뼈가 굵은 정통관료다. “청와대 수석이 하는 것은 내각을 돕는 일”이라는 자신의 말대로 정부 경제팀 지원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미래 맡은 해외파=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자는 박근혜 정부 내각의 하이라이트로 불린다. 공식 취임 전부터 가장 많은 조명을 받는다. 김 내정자는 미국에서 벤처신화를 일군 후 알카텔루슨트 벨연구소를 이끌다 당선인 부름을 받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그는 지난 17일 인선 직후 “미래창조과학부가 과학기술과 ICT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 국가 경제가 지속 성장하는데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기업을 운영하는 최고경영자(CEO) 마인드를 정부 부처에 어떻게 접목할 것인지는 김 장관이 풀어야 할 숙제다. 그간 국내에서 CEO 출신 역대 장관은 평가가 엇갈렸다. 강력한 리더십에만 매달리지 말고 `경청`에 신경써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 장관과 보조를 맞출 최순홍 미래전략수석 내정자도 해외파다. 한국에서 대학을 마치고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1981년 국제통화기금(IMF)에 입사해 2004년 정보통신기술실장에 올랐다. 2007년 유엔 초대 정보통신기술국장을 맡았다. 김 장관이 기업 영역에서 활약했다면 최 수석은 같은 해외파지만 주로 공공 영역에서 일했다. 두 사람이 상호 보완 속에 시너지 효과를 낼 전망이다.

◇창조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내정자는 15년 만에 부활한 산업통상형 부처 수장으로서 창조경제 구현을 지원한다. 윤 내정자는 상공자원부, 통상산업부, 산업자원부, 지식경제부 등을 두루 거친 정통 관료다.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수출산업 여건이 녹록지않은 가운데 전력난, 원자력 문제를 풀어야 한다. 여기에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엇갈리는 통상까지 해결해야 한다. 윤 내정자가 지경부 차관에서 장관으로 직행한 것은 복잡한 현 상황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기 때문이라는 평이다.

문화·콘텐츠 산업을 책임질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내정자와 모철민 교육문화수석 내정자도 주목받는다. 당선인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콘텐츠 산업의 중요성을 누누이 강조했다. 공교롭게도 두 사람은 노무현, 이명박 정부에서 차례로 문화부 차관을 역임했다. 차관으로서 쌓은 노하우와 경험을 공유하면서 멋진 콤비 플레이를 펼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