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생산과 소비, 투자 등 실물경제 지표들이 전월 대비로 모두 소폭 반등하면서 경기가 바닥을 다지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3분기 성장세 부진을 주도한 설비 투자는 작년 같은 달보다 8.2%나 급감해 2개월 연속 감소했고 경기선행지수도 두 달째 하락해 회복세는 약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9월 산업활동 동향을 보면 광공업 생산은 제조업(1.0%)의 반등으로 전월보다 0.8% 증가했다.
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로 6월 -0.5%, 7월 -1.8%, 8월 -0.9% 등 3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지다 넉 달 만에 반등했다.
광공업을 비롯해 서비스업(0.7%)과 건설업(3.9%) 등도 반등해 전(全) 산업 생산은 전월보다 0.8% 증가했다.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과 같았으나 앞으로의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7포인트 하락해 전월(-0.2포인트)보다 낙폭을 키웠다.
기획재정부는 “8월 지표 부진을 초래했던 자동차업계 파업과 태풍 등 일시적 요인이 순차적으로 해소되고 추석 명절과 경제활력 대책 등이 지표 개선에 기여한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실물지표가 부진에서 벗어났다고 평가하면서도 “세계경제 둔화 우려가 지속되고 국내 소비·투자 심리회복도 지연되는 등 대내외 불확실성은 여전히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제조업종별 전월 대비 생산을 보면 완성차 업체의 파업 종료 영향으로 자동차가 12.9%로 크게 늘었고 전기장비(2.8%) 등도 증가했다. 반면에 반도체·부품(-0.8%)을 비롯해 기계장비(-3.1%), 의복·모피(-10.6%) 등은 부진한 편이었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선 반도체·부품(5.5%), 화학제품(6.4%), 식료품(7.5%) 등이 증가했으나 자동차(-6.6%), 영상음향통신(-9.1%), 비금속광물(-10.9%) 등은 감소했다.
생산자 제품 출하는 내수와 수출에서 각각 1.4%, 6.2% 증가했다.
재고는 전월 대비로 2.8% 감소했다. 석유정제(-20.7%), 반도체·부품(-2.4%), 1차금속(-4.0%) 등이 줄었기 때문이다.
제조업 재고·출하 비율(재고율)은 109.8%로 전월에 비해 7.2%포인트 떨어졌다. 제조업 재고출하순환을 보면 출하의 증가폭(2.6%→-0.3%)과 재고의 증가폭(9.7%→5.7%) 모두 축소됐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5.2%로 전월 대비 1.5%포인트 올랐고 가동률지수는 자동차(21.2%), 금속가공(6.4%) 등의 증가로 전월보다 2.1% 개선됐다.
전자산업의 주요지표(단위: 10억원, %)
*컴퓨터 및 주변장치, 영상 및 음향기기, 마그네틱 및 광학매체 등 산업 수치도 포함.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