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기술, 대선 정책 경쟁의 시발점

대선 후보들이 정보통신기술(ICT)·과학기술 정책을 언급하기 시작했다.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가 정보통신과 과학기술로 일자리와 복지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나섰고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도 정보통신미디어부 신설을 기치로 더욱 적극적인 정책을 시사했다. 안철수 후보 역시 지식정보화 산업을 기반으로 한 융합산업으로 창조경제를 구현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환영할 만하다. 정책 경쟁의 단초가 ICT와 과학기술이 되는 모양새다. 이명박 정부 들어 ICT와 과학기술 정책이 상대적으로 소외됐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은 터다. 예산과 정책 우선순위에서 4대 강 사업에 밀리다 보니 수출한국, IT강국을 이끌어온 ICT 산업인들이 느끼는 섭섭함은 이루 다 표현할 수 없을 정도였다.

이를 의식해서인지 박근혜 후보는 이미 총선 때부터 이공계 출신 공천후보자에게 가점을 두고 비례대표 1번에도 과학기술자를 내세웠다. 대선에서도 경제와 일자리, 복지를 풀어갈 키워드로 ICT와 과학기술을 지목하고 정책 개발에 들어간 상태다.

문재인 후보도 IT에 문외한이지 않느냐는 세간의 비판을 의식한 듯 IT강국의 추락을 복원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대선공약에 ICT거버넌스 신설을 약속한 것도 이 같은 인식이 바탕에 깔렸다.

IT인이라고 자신을 지칭한 안철수 후보는 아예 전자신문 창간 30주년 행사에 직접 참석해 `두 바퀴 경제론`이 주축이 된 일자리와 복지의 산업 선순환 구조를 강조했다. 자신의 산업적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IT정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실천 의지다. 표를 의식해 잠깐 화두로 올리고 마는 것이라면 대한민국을 먹여 살리는 산업계를 또 한 번 우롱하는 것이 된다. 국민과의 약속 또한 어기는 것이다. 앞으로 구체적인 대안과 방법론을 모색해 선의의 정당한 정책 경쟁을 통해 유권자의 선택을 받기 바란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