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온라인에서 구현된 기존 금융서비스를 PC 대신 스마트폰으로 옮겨온 것에 불과한 방식으로는 새로운 수익모델을 낼 수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현행 스마트뱅킹이 기존 인터넷뱅킹의 단순 대체 후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19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내놓은 `스마트폰 시대, IT를 넘어 금융을 향해` 보고서에 따르면 지금과 같은 스마트뱅킹은 고객 유지를 위한 방어수단에 불과하다.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충전식 전자지갑이나 모바일카드 역시 금융업 본업인 은행 등 금융기관 입장에선 수익 창출을 기대하기 어렵다. 오히려 전문 플랫폼·시스템업체가 더 잘 할 수 있는 비즈니스다.
스마트뱅킹 전략 수립시 기존 기술이 결코 대체할 수 없는, 스마트폰만이 수행 가능한 특화기능을 중심으로 아이디어를 결집해야 한다는 게 연구소측 분석이다.
보고서는 QR코드와 기프티콘, NFC 기능 등에 주목했다.
QR코드를 이용한 대출 서비스는 시간·장소·단말기 등의 구애 없이 고객 스스로 대출설계를 수행, 인근 지점에 방문하도록 유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정류장이나 영화관 등 유동인구가 많고 체류시간이 필요한 장소에 코드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기프티콘은 충성도 높은 우수 고객에게 개별 발송, 해당 고객에게만 고금리 예금이나 저금리 대출 등 특판상품을 한정 판매하는 기법을 도입할 수 있다.
NFC와 스마트 현금지급기(ATM)를 활용해서는 해외여행 시 환전에 따른 불편과 수수료 부담을 없앤 `해외 ATM 인출서비스(무환전 서비스)` 상품 개발도 가능하다.
이주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어차피 금융비즈니스 주 수익모델은 이자 수입과 수수료고, 나머지는 리스크(위험 부담)가 존재하는 투자유형”이라며 “스마트폰을 새로운 수익 창출 기회로 삼고자 한다면 이자와 수수료가 발생하는 새롭고 효과적인 방법을 남보다 먼저 찾아야 하며, 과거엔 별개로 여겨졌던 서비스들을 종횡으로 융합할 때 그런 기회가 찾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산업의 스마트폰 활용 영역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