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IT교육지원캠페인】FMC

무료 문자메시징서비스인 카카오톡의 인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물론이고 30·40대에서도 이용자가 늘고 있습니다. 국민가수, 국민배우라는 용어처럼 `국민SMS`라는 별칭이 전혀 어색하지 않습니다. SMS의 `신속성`과 경제학적 `공짜` 개념을 결합한 카카오톡은 한국은 물론이고 세계 220여개국 이상에서 서비스되고 있습니다.

Photo Image

그런데 이 같은 신규 서비스가 개인 대 개인 간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넘어 기업체 및 공장으로 확산 중입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무료 인터넷전화(mVoIP)입니다.

스마트폰에서 간단히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으면 해외 지사에 파견나간 동료는 물론이고 국내 공장 직원들과 무료로 통화를 할 수 있습니다. 조선소에서 근무하는 아버지와 자동차 공장에서 일하는 삼촌도 자신의 휴대폰으로 실시간 통화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가능케 하는 것은 FMC입니다. FMC가 비즈니스 현장 속으로 파고들고 있는 것입니다. 그동안 주로 개인 간 통화에 사용되던 무료 인터넷전화(mVoIP)가 유무선통합(FMC) 솔루션 및 앱 기술과 결합하면서 `스마트워크플레이스`를 구현하는 것이죠.

Q:FMC란 무엇인가요?

A:FMC란 유·무선통합(Fixed Mobile Communication)의 약자로, 기업체 임직원들이 실시간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사무 환경을 말합니다. 언제 어디서나 통신을 주고받을 수 있죠. 실시간 기업경영시스템(Real Time Enterprise)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전에는 외근 시 협력사와 전화 통화를 하는 데 불편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국내 스마트폰 보급대수가 2000만대를 넘어서면서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실시간 통화가 가능해 진 것이죠. 고객과 기업 간 커뮤니케이션뿐 아니라 기업 내부의 커뮤니케이션과 의사결정도 실시간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FMC 솔루션을 구축하면 언제 어디서든 스마트폰에서 회사 유선전화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Q:FMC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A:FMC는 유선 전화가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방식입니다. 유선전화를 이동전화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가 부재 중인 사무실 번호로 전화가 걸려 올 경우, 그의 스마트폰으로 연결이 됩니다.

모바일VoIP 기반 FMC를 구축하면 사용자 간 무료통화도 가능합니다. 해당 앱을 스마트폰으로 내려받으면 FMC 사용자 간에는 무료통화를 할 수 있습니다. 가령 직원이 1000명이고, 월평균 일인당 2만5000원의 통신비를 지원하는 회사가 무료 인터넷전화 기반의 FMC를 채택할 경우, 월평균 1000만원가량의 비용절감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업계는 추산합니다. 이 같은 결과는 통상 직장인들이 하는 휴대폰 통화의 상대방은 10건 중 5∼8건이 직장 동료라는 분석을 토대로 산출됐습니다.

FMC는 또 애플리케이션만 업그레이드하면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즐길 수 있습니다. 앱을 통해 응용서비스를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확장성도 뛰어나다는 평가입니다.

사용 가능한 장소 또한 무제한입니다. 구내 전화를 건물 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해외 출장 중에도 스마트폰에서 구내전화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에 자신의 회사 내선번호 설정 기능이 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는 FMC 기반의 영상통화도 대중화 길에 들어설 전망입니다.

Q:어떤 기업에 유리할까요.

A:FMC는 외근이 많은 직원, 본사와 지사간의 통화, 해외지사 또는 해외 거래처 등과 국제전화가 많은 회사, 현장 설치 및 AS 등이 많은 업종의 회사, 작업장이 사무실과 떨어져 있는 공장, 자동차 서비스센터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스마트폰에서 사무실 전화를 바로 걸거나 받고자 하는 모든 업종의 회사에서 도입 시 생산성 증대효과 및 통신비 절감효과가 뛰어나다는 평가입니다.

전문가들은 건설현장, 각종 유지보수 현장, 조선소 등과 같이 작업현장이 방대하거나 고정적이지 않아서 구내전화 시스템을 유선으로 구축하기 어려운 기업에 안성맞춤이라고 소개합니다.

Q:국내 기업들의 도입 상황은 어떠한가요.

A:지난해 CJ시스템즈와 현대중공업 등이 FMC 구축을 완료했습니다. 최근에는 각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및 국내 지상파 방송사 역시 비용절감의 일환으로 FMC 도입을 검토 중입니다.

일부 기업은 FMC 컨트롤러 서버에 IP-PBX 기능을 탑재해 교환기 교체 없이도 모바일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 중입니다.


◇`차세대통신망의 IMS와 VoIP` 민상원 지음, 홍릉과학출판사 펴냄.

인터넷과 이동통신망의 기초과정을 이수한 학부 최고학년, 대학원생, 중급기술자, 통신망 운영자 및 기획자용으로 기획됐다. 이 책은 20여년간 통신의 발전을 기술과 시장의 변화 관점에서 기술 동향을 분석한다. 인터넷 텔리포니, VoIP 신호 프로토콜 등에 대한 기본개념과 기초기술을 소개한다.

◇`UC FMC 및 관련기술 동향` 하연 편집부 지음, 하연 펴냄.

이 책은 통합 커뮤니케이션(Unified Communication)의 기술현황 및 산업동향을 소개한다. 또한 유무선 통합(FMC)의 기술과 산업동향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관련 기술 현황 및 산업동향을 차례로 살펴보려는 독자들이 주로 찾는다.


김원석기자 stone201@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