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핵융합 기반기술 개발에 1조원 투입

Photo Image

 정부가 핵융합 기반기술 개발에 올해부터 2016년까지 약 1조원을 투자한다. 같은 기간 투입되는 연구개발 인원도 2300여명으로 정부가 미래에너지원으로 손꼽히는 핵융합 기술 확보에 팔 걷고 나섰다.

 교육과학기술부는 3일 이 같은 내용의 ‘제2차 핵융합에너지개발진흥기본계획(2012~2016년)’을 심의, 확정했다.

 국가 핵융합에너지개발 로드맵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의 1단계와 올해부터 2021년까지의 2단계, 2022년부터 2036년까지의 3단계로 나눠진다. 국가 핵융합에너지 개발 로드맵 상 2단계(2012~2021년) 목표는 ‘데모(DEMO) 플랜트 기반기술 개발’이다. 정부가 수립한 2차 계획은 2단계 기간 중 전반부인 2012년부터 2016년까지다.

 정부는 오는 2016년까지 KSTAR 고성능 플라즈마를 달성하고 ITER(국제 핵융합실험로) 핵심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9996억원의 예산과 2369명의 인력을 투입, 플라즈마 이론과 시뮬레이션 등 관련 연구를 강화한다. KSTAR연구에 2378억원, ITER사업에 6009억원, 기초연구·인력개발에 587억원, 핵융합연구소에 1022억원 등이 투입된다.

 ITER 사업 참여국 가운에 한국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작업도 병행된다. 타 회원국으로부터 기술용역과 제작수주를 받는 등 국제협력을 확대하고, 현재 21명인 ITER 국제기구 파견 인력도 28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인도, 러시아 등과 협력 확대 및 ITER 기구를 활용한 국제협력, 인력양성(파견), 국내수주 확대도 추진한다.

 교과부 측은 “2단계 기간 동안 KSTAR와 ITER 연구 성과를 상용로 개발까지 이어갈 계획”이라며 “이를 기반으로 오는 2022년부터는 행융합발전소 건설능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