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카카오톡, `제2의 프리첼` 되려 하나?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을 운영하는 카카오가 무리한 개인정보 수집으로 이용자들의 거센 반발을 샀다. 카카오는 지난달 하순 이메일 주소를 비롯한 이용자 정보를 추가로 수집하는 내용의 개인정보 취급 방법 변경을 예고하고 1일 시행했다. 사전 공지치고는 너무 촉박하다.

 카카오 입장을 충분히 이해한다. 기존 회원 약관을 연계해 사용하는 포털 등과 비교해 불리하기 때문이다. 카카오 주장대로 게임 등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조치일 수 있다. 이용자 반발 이유는 따로 있다. 카카오의 고압적인 태도다.

 카카오는 새 정책을 따르지 않으면 ‘서비스 불가’라며 이용자에게 계정 삭제 여부를 물었다. 이용자들은 추가 서비스 이용을 제한한다면 모를까 서비스 자체를 막자 화를 냈다. “이용자 많아졌다고 ‘빅 브라더’가 되겠다는 거냐?”고 분노한다. 반발은 카카오가 이용자 전화번호부에 저장한 제3자 전화번호 수집하려던 지난해 10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카카오가 공식 사과하면서 잠잠했던 사안이 다시 불거지기 시작했다.

 9년 전, 프리챌 악몽이 떠오른다. 커뮤니티 포털 ‘프리챌’은 2002년 10월 유료화를 선언했다. 분노한 이용자들이 썰물처럼 빠져나갔다. 유료화 자체의 문제가 아니다. 프리챌이 이렇게 키워준 이용자들에게 최소한의 배려 없이 ‘돈벌이’만 생각하는 것처럼 비쳤다는 게 문제다.

 그 때나 지금이나 신규 인터넷 업체의 고민은 사업모델이다. 카카오도 오죽했으면 반발이 뻔한 일을 하려 했겠는가. 그렇다 해도 이용자 정서를 읽지 못한 성급한 시도는 서비스는 물론이고 회사 존립 자체를 흔든다. 커뮤니케이션(소통) 기업인 카카오는 조금 더 소통의 방법을 배워야 하겠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