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와 관련 방사능 피폭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관련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7일 환경재단과 환경운동연합이 개최한 ‘우리나라 원자력 발전, 과연 안전한가?’ 토론회에서 패널로 참가한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 국장과 이창현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장정욱 일본 마쓰야마대학 경제학과 교수는 한국은 원자력 기술 및 사고 정책 등에 대한 정보가 국민들과 공유되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국장은 “지금 국민은 불안해하는데 정부는 우리는 안전하다고만 한다”며 “불안은 안전하다는 말로 없어지는 게 아니라 베일 없는 정보공개로 이해를 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최근 원전 관련 괴담을 조사하겠다는 경찰의 행태를 꼬집으며 “지금 중요한 것은 괴담을 잠재우는 것이 아니라 일본 사태와 한국 원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창현 국민대 교수는 “지금 일본은 최악의 상황을 대비하고 있는데 한국 정부는 최선의 시나리오를 쓰고 있다”며 “일어날 수 있는 사태를 부정하지 말고 문제점에 대한 공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일본의 사태를 예로 들며 “일본도 초기에는 방사능 누출은 없다고 말했지만 사태가 급변한 만큼 신중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장정욱 마쓰야마대학 교수는 기본적으로 국민이 수집할 수 있는 원전 관련 정보가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장교수는 “대형 서점에 가도 원자력 관련 전문 서적은 백서 3권 정도가 전부”라며 “이는 학계와 정부의 책임이 크다”고 말했다.
원전 사태 관련 정부의 준비상태가 좀 더 강화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양이원영 국장은 국내 방사능 피폭 관련 치료제 확보상황이 매우 열악한 부분을 지적하고 기존적인 물품을 갖춰놓을 것을 주문했다.
오창환 전북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한국이 지진 안전지대는 맞지만 이는 지진이 안 일어난다는 것은 아니다”라며 “역사적으로도 규모 7.0 수준의 지진이 있었던 만큼 국내 원전 내진 설계도 6.5 이상의 기준으로 재검토 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의 발표에 대해 맹목적인 불신은 경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은철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이번 일본 원전 폭발처럼 사태가 급박한 경우는 정부도 수집 정보가 수시로 바뀐다”며 “정부의 발표를 무조건 색안경을 끼고 보기보다는 신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kr
-
조정형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