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금리인상은) 시장에 반영됐다. 그래서 파장도 미미할 것이다.”
10일 기준금리 인상 여부 결정을 위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두고 8일 한 시장 전문가의 금리인상 가능성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이 관계자를 포함한 시장 전문가 상당수는 중동 사태에 따른 경기 불확실성에도 불구, 이번달 금리 인상 가능성이 크다는 예상이다. 이들 대부분은 0.25% 인상을 내다봤다. 이번달에도 금리를 동결할 경우 ‘정부의 입김’ 지적이 일 것이라는 시각도 나왔다.
한 금융전문가는 익명을 전제로 “최근 한은 금통위가 시장의 예상과 다른 결정을 내려, 물가를 잡아야 하는 기본 역할에서 벗어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달 금리 인상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이유는 단연 ‘물가 인상 부담’ 때문이다.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4.5% 증가해 27개월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달 금리인상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자 하는 의지를 피력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전효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2월까지 중동사태의 불확실성이 높았다. 지금도 완화된 것은 아니지만 더 악화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위기”라면서 “이달 들어 물가 불안감이 높아 0.25% 인상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주이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도 이달 0.25%인상을 예상하며 “식품과 석유류에서 시작된 인플레이션 압력이 서비스부문으로 확산돼 금리인상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리인상 예상이 다수의견이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금리 동결 가능성도 내비췄다. 동결을 주장하는 전문가들은 ‘중동사태’와 ‘인상 효과’를 배경으로 들었다. 금통위가 금리인상을 통해 물가를 잡으려한다고 해도, 효과는 기대하기 힘들다는 설명이다. 이는 최근 물가상승 요인이 유가와 원자재가격 상승 그리고 구제역 등 외부충격에 기인하고 있어서다.
이달 금리동결을 전망한 이철희 동양종금증권 연구원은 “중동사태가 리비아에서 주변국으로 확산하고 있어 불확실성 정도를 가늠할 수 없다”며 “일단 우려상황이 안정화하는 것을 확인하고 금리를 인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엽 기업은행 기은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최근 물가가 많이 뛰었고 신학기 등록금 등을 고려할 때 4월까지 물가가 상승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금리를 올리는 것이 맞다”면서도 “최근 물가상승이 외부요인으로 인상을 해도 효과가 크지 않아 금리를 올리는 것이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금융투자협회는 이날 채권시장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결과, 전체의 52.5%가 ‘기준금리 인상’을 예상했다고 밝혔다.
김준배기자 joon@etnews.co.kr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한국과 미국 기준금리 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