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법조사처 `이집트, 인터넷 차단 효과없어`

국회 입법조사처는 2일 "이집트 정부가 정치적 격변 과정에서 트위터와 페이스북, 인터넷 차단이란 극약처방을 했지만 시위 확산을 막지 못했고 국가위신만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조사처 사회문화조사실 김유향 문화방송팀장과 조희정 입법조사관은 이날 조사처가 발간한 `이슈와 논점`에서 `이집트의 정치격변과 인터넷 차단의 정치효과`라는 글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이집트의 경우 인구의 20%인 2000만명이 인터넷을 사용하며, 인구의 6%가 페이스북을 사용하는 등 북아프리카 인터넷 선도국가이지만 언론과 인터넷에 대한 통제의 대표적 국가이기도 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집트는 인터넷이 정치와 온라인 소통에 활용되기 시작한 2005년부터 인터넷과 언론을 탄압하기 시작하면서 많은 블로거를 체포했고, 그 과정에서 인터넷을 통한 국민의 저항은 심화될 수밖에 없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이어 "이집트 정부의 극약처방에도, 다양한 기술적 우회수단을 가진 인터넷 소통을 막지는 못했다"면서 페이스북에서 정치적 결집, 트위터에서의 해시태그(동일한 주제를 하나의 창에서 볼 수 있도록 해 주는 검색기능) 등을 꼽았다.

게다가 알자지라 방송도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를 활용한 보도로 이집트 정부의 인터넷 차단을 무력화시켰고, 미국.영국의 주요 미디어도 각종 SNS의 글들을 인용, 이집트 사태를 적극적으로 알렸다고 이들은 지적했다.

이들은 또 `SNS의 빠른 네트워크 효과에 의해 촉발된 튀니지 혁명`이란 글에서 "올해 튀니지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SNS는 온라인 공간만이 아니라 현대 사회의 정치.경제.사회.문화환경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북아프리카 혁명 과정을 통해 21세기 민주화 혁명의 새 장을 여는 모델이 `인터넷 시민혁명`인지, 과연 SNS가 `혁명의 네트워크`인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