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시장에 변화의 바람이 몰아치고 있다.
정책자금은 지난해에 비해 무려 4000억원 이상 늘어난 5400억원으로 편성됐고 자금추천은 성과보증형 계약방식이 우대받을 수 있도록 심사를 통한 이뤄지게 된다.
해마다 ESCO산업 활성화를 외치고도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던 정부지만 올해만큼은 ‘확 바뀐’ 제도와 ‘통 큰’ 지원으로 변화의 바람을 이끌겠다는 생각이다.
업계도 이에 화답하듯 지난해 68개 기업이 신규로 ESCO로 등록했다. 이는 ESCO 등록이 실시된 지난 1992년 이후 최대 규모이다. 전체 ESCO 182개 기업 중 34%가 지난해 ESCO사업에 새로 뛰어들었다.
일단 겉모습은 성공적으로 변화했다는 평가지만, 업계에서는 진정한 변화는 지금부터라고 얘기하고 있다.
◇대형화·전문화 주도= 최근 불고 있는 ESCO업계의 변화를 주도하는 것은 대기업들이다. 지금까지 삼성에버랜드나 일부 외국계 기업들을 제외하고는 대규모의 사업을 추진하는 기업을 찾아보기 힘들었던 것이 현실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LG전자를 비롯해 STX에너지, GS파워 등이 ESCO로 등록하면서 ESCO 시장의 몸집불리기에 앞장섰다. 삼성전자 또한 시스템에어콘(EHP)공급 협력사인 코텍엔지니어링 등을 통해 시장에 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이들 기업은 건물에너지관리·폐열회수·플랜트공정개선·집단에너지 등 각각 특화된 분야에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어서 아이템 다양화는 물론 다방면의 중소기업과의 협력이 기대되고 있다.
권오정 지식경제부 에너지절약정책과장은 “ESCO산업 활성화의 관건은 대형화와 전문화로 요약할 수 있다”며 “ESCO 대기업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에너지절약 효과가 큰 사업을 추진하고 중소기업들은 해당 분야에서 전문적인 역량으로 사업에 참여하는 형태가 만들어 질 것”이라고 말했다.
◇치열한 적자생존 예고= ESCO 한 관계자는“올해부터 정책자금이 대규모로 늘어 사업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렇다고 이것이 모든 ESCO에게 기회가 주어지는 것은 아닐 것”이라며 올해를 본격적인 ‘적자생존’ 바람이 부는 한해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부터 자금추천이 성과보증형 사업을 위주로 진행되기 때문에 에너지절약에 대한 눈에 보이는 성과와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하지 못하는 기업은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퇴출 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됐다.
이와 관련, 에너지 절감 측정 및 검증(M&V) 능력의 확보가 ESCO의 주요 과제가 됐다.
고근환 ESCO협회 전무는 “신성과 배분계약 등을 도입해 ESCO에게 충분한 준비기간이 주어지지만 과거처럼 단순한 사업 아이템이나 에너지절약 성과가 불분명한 사업으로 일관하는 기업들은 살아남기 힘든 상황이 됐다”며 “M&V 체계를 확보하려는 기업들의 지속적인 노력과 투자가 따라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kr
-
최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