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012/076999_20101228142738_828_0001.jpg)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총장 조무제)가 차세대 에너지산업인 2차전지와 원자력 분야를 집중 육성한다.
조무제 총장은 28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공격적인 교수진 확충과 인근 산업체와의 산학협력으로 2차전지와 원자력 분야를 집중적으로 키울 것”이라며 “이를 통해 10년 뒤 세계 30위권 대학으로 진입하는 목표를 수립했다”고 밝혔다.
UNIST는 2차전지 분야 교수를 국내 최다인 10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에 앞서 지난해 이 학교 에너지공학부의 조재필 교수 연구팀이 실리콘 나노튜브를 이용해 리튬 2차전지의 용량을 50% 이상 늘리는 성과를 낸 바 있다.
원자력 분야에서도 교수진을 확충하고 ‘장주기 원자로’에 대한 기초연구도 돌입할 계획이다. 장주기 원자로는 한 번의 연료 투입으로 수십년간 원자력을 발전한 후 연료 소모와 함께 원자로의 수명이 다하는 방식이다. 조 총장은 “아직은 아이디어 단계지만 새로운 원자력 원천기술 개발을 시도할 것”이라 말했다.
한편 교육과학기술부는 UNIST와 함께 한국과학기술원(KAIST)·광주과학기술원(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등 4개 과학기술대학교를 특성화를 통해 특화분야 연구중심대학으로 육성키로 했다. 이를 통해 기관별 특화분야와 연계한 대학 간 융복합 R&D사업 개발 지원 등 상호 협력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발전 전략과 지원 방안은 실무 TF에서 안을 마련해 전문가의 의견 수렴을 거친 후 내년 6월 최종 확정된다.
황태호기자 thhwang@etnews.co.kr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012/076999_20101228142738_828_000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