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패키지 방식의 장점…선발주자의 성과 활용 등 장점 많아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009/035212_20100917132019_296_0001.jpg)
`비즈니스 패키지`란 동종 금융업계에서 이미 수행한 차세대시스템 프로젝트의 경험과 산출물을 체계적으로 묶어놓은 것이다. 비즈니스 패키지는 이미 완료되고 적용된 차세대시스템의 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산출물을 활용해 고객의 비즈니스 요건을 커스터마이징해 비교적 신속하고 수월하게 차세대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선발주자의 성과 활용 등 장점 많아=비즈니스 패키지 기반 프로젝트의 장점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비즈니스 패키지에 담겨 있는 베스트 프랙티스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선진 업무 및 프로세스, 검증된 기술 아키텍처 및 실제 차세대시스템 구축을 수행했던 실무적 경험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다. 보험 및 저축은행의 경우 업계 선두 주자의 비즈니스 패키지를 도입함으로써 인수, 보상손사, 여신, 사후관리 등의 업무에서 선진화된 프로세스를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이미 수행된 차세대시스템 프로젝트의 산출물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프로젝트 비용과 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증권사 차세대시스템 프로젝트에서 선행사의 비즈니스 패키지를 활용할 경우 자체 방식으로 개발하는 것에 비해 △50억~100억원 가량의 비용 절감 5~8개월 가량의 프로젝트 기간 단축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IT인력의 부족을 극복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다. 비즈니스 패키지는 요구사항, 데이터 모델, 애플리케이션 모델 및 프로그램 소스 등 프로젝트 전체 라이프사이클에 걸친 산출물이 잘 짜여진 전사 아키텍처에 기반을 두고 작성되고 구성되는 것이 원칙이다.
이런 비즈니스 패키지를 잘 선택해 활용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인적 자원만을 갖고도 선진화된 차세대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중장기적으로 인적 역량을 훈련하고 정예화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된다.
그러나 비즈니스 패키지의 장점들을 모두 살리기 위해서는 주의해야 할 몇 가지 숙제들이 남아있다.
첫째, 도입하는 회사의 경영전략 및 업무 프로세스와 비즈니스 패키지의 아키텍처와 사상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비즈니스 패키지가 담고 있는 베스트 프랙티스를 수용하는 경우, 조직 내부의 저항으로 인해 프로젝트 진행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런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선 품질이 우수하고 차세대시스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기업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비즈니스 패키지를 선정해야 한다.
◇비즈니스 커버리지와 라이선스 주의해야=최적의 비즈니스 패키지는 네 가지 요구를 만족시켜야 한다. 즉 △높은 비즈니스 커버리지 △우수한 품질 △투입인력의 비즈니스 패키지 경험 그리고 △패키지 라이선스의 확보가 그것이다.
비즈니스 커버리지는 비즈니스 패키지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의 경영 전략과 비즈니스 모델이 비즈니스 패키지와 얼마나 일치하는가를 따지는 기준이다. 비즈니스 커버리지가 높지 않으면 해당 비즈니스 패키지를 무조건 수용하거나 또는 비즈니스 패키지의 커스터마이징 비율이 지나치게 높아질 수 있다.
비즈니스 패키지를 무조건 수용할 경우 2000년대 초반 은행권 차세대시스템 프로젝트의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크다.
비즈니스 패키지를 도입한다는 것은 선진 사례와 함께 그 품질도 도입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즈니스 패키지를 도입할 때 패키지 전체의 완성도나 실제 현장 운용에서 드러난 문제점이나 유지보수 데이터 등을 보다 철저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다.
비즈니스 패키지를 제공하는 업체(보통 SI사업자)가 차세대시스템 프로젝트에 투입하는 인력의 비즈니스 패키지 구축 경험 여부는 결코 양보할 수 없는 기준이다. 그만큼 프로젝트의 성공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프로젝트 준비 및 이행 등 전 단계에 걸쳐 철저하게 검증해야 한다.
적어도 단위 영역별 핵심인력 중 최소 1인 이상이 해당 비즈니스 패키지를 개발하거나 혹은 적용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이들은 패키지를 도입할 기업 담당자에게 비즈니스 패키지의 기능과 특성, 적용 및 운용 당시의 경험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추가 및 변경 요건이 이미 구축된 패키지에 미칠 영향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비즈니스 패키지의 라이선스 문제는 아직까지 국내 IT업계나 기업에서 경험이나 사례가 많지 않아 인식이 높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SI업체들도 적극적으로 `비즈니스 패키지` 기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어 앞으로는 여건이 많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최적의 비즈니스 패키지를 선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제안서 평가 단계에서부터 비즈니스 패키지를 함께 평가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패키지를 선정할 시간적 여유가 충분하지 못하다. 비즈니스 패키지의 평가 및 선정 인력이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있어야 하나,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내부 IT 인력의 역량이 부족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평가 역량을 제대로 갖추기는 어렵다.
명확한 선정기준이 없이 비즈니스 패키지를 평가하는 것도 문제가 된다. 비즈니스 패키지 제공자가 협조에 소극적인 것도 패키지 평가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일반적으로 중소규모의 금융기업들이 차세대시스템 프로젝트에 비즈니스 패키지를 활용하고자 할 경우 이런 문제점들이 발생하기 쉽다. 이런 문제들을 극복하고 최적의 비즈니스 패키지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패키지 활용 전략, 표준화된 평가 절차, 평가 기준모델, 평가모형 및 도구 등으로 구성된 비즈니스 패키지 선정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윤기영 투이컨설팅 수석컨설턴트 synsaje@2e.co.kr
<<연재 기사 목차>>>
`비즈니스 패키지 기반 금융 차세대` 연재 기사
①금융 차세대시스템 구축의 대안 등장
②비즈니스 패키지 방식의 장점
③사전 표준화 논의와 변경관리 필수
>> ①, ③번 기사는 CIO BIZ+ 온라인(www.ciobiz.co.kr)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