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코리아2020] <4부> 전문가의견

스마트정부가 성공하려면 여러 가지 전제 조건이 있다.

전문가들은 특히 언제 어디서든 국민이 민원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려면 행정 프로세스가 똑똑해져야 한다고 지적한다.

홍필기 서울디지털대학 교수는 “스마트 행정서비스는 여러 전문분야를 고객인 국민에게 일괄서비스 해주는 개념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업무를 중간에서 조율해주는 책임자나 리더십이 필요하다”며 “스마트워크로 파편화된 업무를 국민 접점마다 총괄하는 책임자를 정해 권한을 부여하는 임파워먼트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공분야 스마트워크가 성공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는 스마트워크가 가능한 업무와 직무분석이 선행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이철수 한국정보시스템감리사협회장은 “공무원은 일반 기업과 달리 뚜렷한 성과를 내는 업무가 아닌 경우가 많다”며 “스마트워크로 성과를 낼 수 있는 직무를 철저하게 분석하고 단계적으로 도입해야지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홍필기 교수는 “시장 논리로는 성과를 낼 수 있는 고객 접점으로 한걸음 더 나가야 하지만 조직의 인사 관점에서는 인사권을 가진 상관에게 더 다가가려는 경향이 강하다”며 “성과 중심의 인사평가가 가능하도록 평가제도를 개편하는 것과 함께 간부들이 이에 맞춰 객관적인 평가하는 문화 정착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공무원 개개인의 스마트 역량 강화도 전제조건으로 꼽혔다.

기본적으로 모바일 오피스가 가능한 ICT 역량을 갖춰야 한다. 자기주도적인 스마트워크를 위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은 물론이고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협업 역량이 필수라는 지적이다.

공직 문화도 유연해져야 한다.

홍문성 한국IBM 실장은 “스마트워크는 기술보다는 대면중심의 보고 및 회의, 폐쇄적 조직문화가 가장 큰 걸림돌”이라며 “일반 기업보다 더욱 보수적인 공직 사회에 보다 개방적이고 유연한 조직문화를 얼마나 빨리 확산시키느냐가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앞장서서 낡은 법이나 제도 개선도 추진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권영선 KAIST 교수는 “스마트한 생활혁명은 우리국가의 발전을 위한 과감한 제도 개선 없이는 불가능하다”며 “원격의료 허용 등 법 개정을 위해 정부가 강력한 추진력을 발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지영기자 jyajang@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