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중심의 실무형 IT 인재 양성 기관이 문을 연다고 한다. 급변하는 IT 현장에서 이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는 것은 전문 인력이다. 전문대학이나 이공계 대학을 졸업하고도 실무에 투입하려면 장기간의 재교육이 필요한 게 우리 IT업계 현실이다. 특히 요즘처럼 각종 산업이 융복합화하는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에 전문 인력 양성은 그 의미가 남다르다. 실례로 중소기업청이 지난해 발표한 `2009 중소기업 정보화수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내 정보화 전담인력이 있는 곳은 18.9%에 불과하다는 결과는 현실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이 같은 현장의 요구에 일부 대학이나 기업에서 산발적으로 IT 융복합 관련 학과나 강좌를 개설하기도 했으나 필요 인력에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전자산업진흥회가 개소한 `IT인재 아카데미`는 질과 양적인 측면에서 거는 기대가 자못 크다. 우선 수적으로 교육훈련혁신센터교육, 이공계전문연수과정, SW융합전문가양성과정, 산학연계코디네이터양성, 특허교육 등 5가지 과정에 연인원 4500명이 배출될 예정이다.
질적으로도 임베디드SW, 이동통신 인력양성 인프라 구축, 해킹 등 IT 융합 트렌드에 걸맞은 기업 실무형 교육으로 짜여져 현장 즉시 투입이 가능할 전망이다.
그동안 우리나라가 IT강국이 될 수 있었던 것도 숙련된 IT 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 · 인도 등 신흥국가들의 추격으로 가격경쟁력에서 위협받고 새로운 기술의 잇따른 등장으로 자칫 시기를 놓치면 글로벌 경쟁에서 추락하는 `샌드위치`가 돼 버렸다. 그 어느때보다 핵심 기술인력 양성이 시급하다는 얘기다.
전자산업진흥회가 주도가 돼 만든 IT인재 아카데미가 IT강국을 지속할 수 있는 맨파워의 산실이 돼야 하는 이유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2
SK하이닉스, 美 인디애나 법인장에 이웅선 부사장 선임
-
3
[ET시론]K콘텐츠 성장과 저작권 존중
-
4
[사설] 보안기능 확인제품 요약서 사안별 의무화 검토해야
-
5
[ET시선] 국회, 전기본 발목잡기 사라져야
-
6
[부음] 김동철(동운아나텍 대표)씨 장모상
-
7
[김태형의 혁신의기술] 〈23〉미래를 설계하다:신기술 전망과 혁신을 통한 전략 (상)
-
8
[박영락의 디지털 소통] 〈21〉트렌드 반영한 3C관점 디지털 소통효과 측정해야 낭비 제거
-
9
[부음]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씨 장모상
-
10
[IT's 헬스]“중장년 10명 중 9명 OTT 시청”…드라마 정주행 시 조심해야 할 '이 질환'은?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