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시티 강국의 꿈` 퇴색시키는 입찰 평가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지자체 u시티 주요사업 추진현황

 한국토지주택공사가 u시티 입찰에서 가격평가 점수를 높이면서 ‘u시티 강국’의 꿈이 퇴색될 것이라는 지적이 높다. 기술보다는 가격에 의해 사업자가 결정되면 저가에 수주한 업체가 채산성을 맞추기 위해 새로운 기술이나 서비스 연구개발을 등한시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동탄 등 이미 구축된 u시티가 주민체감형 서비스 부족으로 ‘미완의 대기’로 남은 상태다. 전문가들은 초기 시행착오를 극복하고 이제 신기술과 서비스를 본격 개발해야 할 시점에 저가 수주 경쟁으로 몰아가면 우리나라 u시티 산업은 꽃을 피우기도 전에 시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지자체도 ‘저가 입찰 도미노’=토지주택공사가 가격평가 비중을 높이겠다는 것은 사실상 국내 u시티 프로젝트 대부분이 저가 수주 경쟁장으로 변모하는 것을 뜻한다. 연간 3000억원 규모로 커진 국내 u시티 시장에서 그동안 토지공사와 주택공사가 발주한 물량이 거의 90%에 달했기 때문이다. 최근 지방자치단체가 별도의 건설사를 지정해 u시티 사업을 펼치기도 하지만 사업 규모가 100억원을 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토지주택공사가 가격 평가 비중을 높이면 지자체도 예산절감을 명분으로 비슷한 평가기준을 마련할 것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우려다.

 ◇‘킬러 서비스’ 개발 물거품=송도·교하·판교·광교·흥덕·별내 등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 각지가 u시티를 구축 중이다. 주민들에게 최첨단 도시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 이미지도 제고한다는 차원에서 지자체들이 너도나도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주민들은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가 별로 없다고 입을 모은다. 해외 바이어들도 한국의 u시티에 관심을 많이 나타내지만, 온몸으로 체감할 서비스를 보여주지 못해 수출 계약이 이뤄지는 사례가 극히 드물다.

 국토해양부는 이달 초 ‘유비쿼터스도시 종합계획’을 마련해 5년간 49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u시티 핵심 기술과 국민체감형 서비스도 개발할 계획이다. 세계 최초로 선보인 u시티를 제대로 된 ‘수출품’으로 만들어보자는 정부의 의지가 반영됐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13년까지 2400억달러 규모의 세계 u시티 시장의 10%를 점유한다는 장밋빛 전망도 내놓았다.

 그러나 토지주택공사의 가격평가 비중 상향은 정부의 비전을 실행하기도 전에 거스를 수밖에 없다. u시티 업계 한 관계자는 “가격평가 비중을 높여 낙찰가율이 떨어지면 업체 측에서는 손해를 보지 않기 위해 많은 비용이 드는 서비스를 아예 반영하지 않거나 반영하더라도 흉내만 내는 수준에 그칠 수 있다”고 토로했다.

 조병완 한양대 교수는 “u시티는 유비쿼터스센서네트워크(USN)와 관련된 고도의 기술을 요구하지만, 우리나라는 관련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원천기술을 거의 보유하지 않았다”며 “발전 초기 단계에서 기술 개발보다 가격부터 낮추려는 것은 기반 공사를 하지 않고 모래성을 쌓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꼬집었다.

장지영기자 jyaj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