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주년이 된 공학교육인증제가 겉돌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학교육인증제란 공과대 교육에 대한 일종의 품질인증제도다. 인증 프로그램의 졸업생에게 공학 실무를 담당할 준비가 돼 있음을 보증하는 것이다. 공학교육인증원이 정한 교육목표와 기준, 세부지침 등에 따라 공학교육을 실시하고 소정의 과정을 이수한 학생에게 인증서를 수여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는 1999년 도입됐다. 지난 7월 현재 공학교육인증을 획득한 대학과 프로그램 수는 64개 대학, 531개 프로그램에 이른다. 많은 대학이 공학교육인증을 받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보면 얼마나 중요한 제도인지 알 수 있다.
그러나 제도 도입 10주년을 맞아 활성화를 위한 재점검이 필요하다. 많은 대학이 공학교육인증제롤 도입하고 있지만 수도권 주요 대학들은 부담이 된다는 이유로 도입을 꺼리고 있다. 고려대 전기전자전파공학부나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처럼 예비인증과정에서 프로그램을 포기하는 사례도 등장했다.
산업체도 마찬가지다. 공학인증 획득자에게 입사 시 가산점이나 우대조치를 취하고 있는 곳은 삼성그룹 16개 계열사, NHN, 안철수연구소, LG-노텔 등에 불과하다. 그만큼 산업체가 공학교육인증제를 외면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학생들도 굳이 따기 어려운 공학교육인증을 받을 필요가 있냐는 분위기다. 대부분의 산업체가 공학교육인증에 대해 관심을 두고 있지 않다보니 학생들은 ‘그것 없이도 취직하는 데 아무 문제 없다’는 인식을 갖게 되고 결과적으로 공학교육인증의 부실화를 초래한다.
공학교육인증이 사회적인 공감대를 더욱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인증의 최대 수혜자가 될 수 있는 산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인증 프로그램 졸업생들에게 인증의 효과를 실질적으로 보여줘야 하는 것이다. 공학인증교육이 제자리를 잡기 위해서 공학교육인증원, 대학, 산업체가 힘을 모아야 할 때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기계연, '생산성 6.5배' 늘리는 600㎜ 대면적 반도체 패키징 기술 실용화
-
2
네이버멤버십 플러스 가입자, 넷플릭스 무료로 본다
-
3
KT 28일 인사·조직개편 유력…슬림화로 AI 시장대응속도 강화
-
4
삼성전자, 27일 사장단 인사...실적부진 DS부문 쇄신 전망
-
5
K조선 새 먹거리 '美 해군 MRO'
-
6
인텔, 美 반도체 보조금 78.6억달러 확정
-
7
갤럭시S25 울트라, 제품 영상 유출?… “어떻게 생겼나”
-
8
GM, 美 전기차 판매 '쑥쑥'… '게임 체인저' 부상
-
9
삼성전자 사장 승진자는 누구?
-
10
美 캘리포니아 등 6개주, 내년부터 '전기차 판매 의무화'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