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탄소배출권 시장 잡자"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지자체 탄소배출권 시장 관련 주요 활동

 탄소배출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지자체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국내 첫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를 놓고 이미 몇몇 지자체 간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정부가 내년부터 ‘공공기관 탄소배출권 거래제 시범사업’을 시행하기로 하면서 거래시스템 구축 등 지자체별 탄소배출권 확보 및 거래를 위한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탄소배출권거래소, 서울, 부산, 전남 경쟁=범정부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탄소배출권거래소 설립에는 서울과 부산, 광주·전남이 거래소 유치를 놓고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거래소 유치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는 물론이고 녹색도시 이미지 등 다양한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부산시는 올 초 정부(금융위원회)로부터 해양·파생특화 금융중심지로 지정된 만큼 파생금융상품인 탄소배출권을 매매하는 탄소배출권거래소 또한 당연히 부산에 설립돼야 파생특화 금융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부산시는 본사를 부산에 두고 있는 한국거래소의 세계적인 거래시스템을 활용하면 저비용 고효율의 글로벌 탄소배출권거래소를 설립·운영할 수 있다는 것을 장점으로 내세우는 한편, 지역 산·학·연·관을 망라한 거래소 유치 자문위원회를 조직하고, 이를 중심으로 탄소배출권거래소 설립에 대한 동향 파악과 부산 유치를 위한 다각도의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전남 나주)에 들어설 한국전력거래소에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해외 선진국의 탄소배출권거래소 운영 사례에 비춰볼 때 탄소배출권 거래는 전력발전 부문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전력거래소가 탄소배출권 거래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게 광주와 전남의 방침.

이에 따라 시도는 공동 태스크포스(TFT)를 구성해 중앙부처 및 국회 등을 방문해 유치 건의활동을 벌이는 한편, 한국전력거래소와 탄소배출권거래소 개설을 위한 협약을 체결해 공동 보조를 취하고 있다.

◇대구, 울산, 강원 등 탄소배출권 확보 스타트=대구와 경북, 울산, 강원 등 지역별로 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대구시는 UN 기후변화협약기구(UNFCCC) 산하 청정개발체제(CDM) 집행위원회에 안건으로 올라 있는 대구 방천리 매립장의 탄소배출권(CERs) 승인을 눈앞에 두고 있다. 승인 결과에 따라 대구시는 지난 1년간 방천리 쓰레기 매립장에서 포집한 탄소 40만5000톤(40억∼50억원)의 배출권을 확보하게 된다.

부산시는 지난해부터 자체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을 시범 구축해 운영 중이다. 시와 참여기관 간에 협의·할당된 탄소배출량의 잉여 또는 부족분을 사이버머니로 사고파는 형식이다. 지난해에는 25개 기관이 참여해 1366톤(기준량의 4.22%)을 감축하는 성과를 거뒀다.

경북도는 이달 탄소시장을 개설, 시군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목표를 정해 배출권 거래를 자체 실시한다는 방침인 가운데 최근 경북 포항시는 포항테크노파크를 후보지로 내세워 국립 탄소배출권거래소와 기후변화연구소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다.

이 밖에 강원도는 오는 2012년까지 풍력발전단지 16곳, 태양광발전단지 13곳을 추가 조성하고 바이오와 폐기물 재활용, 연료전환, 몽골과 베트남 등에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는 등 연간 734억원어치의 탄소배출권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며 울산시는 내년부터 실시하는 정부 ‘공공기관 탄소 배출권 거래제 시범사업’에 대비해 ‘온실가스 최적 관리 시스템(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등)’ 구축에 들어갔다.

한편, 탄소배출권을 매매하는 탄소시장 규모는 오는 2012년을 전후로 전 세계적으로는 1500억달러, 국내에서만 4000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