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단상] 아시아와 함께 글로벌 연구네트워크를

Photo Image

 1964년 세계적 커뮤니케이션 학자 마셜 맥루한이 ‘지구촌’이란 말을 처음 사용한 이래, 세계는 더욱 가까워지고 네트워크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지구상의 모든 사람이 다섯 단계만 건너면 어느 누구와도 안면을 틀 수 있다는 서양속담도 있듯이, 공간적 제한을 뛰어넘는 사람 간의 유기적 연결은 개인뿐 아니라 집단이 생존하는 데 꼭 필요하다.

 세계 각국은 여러 분야에서 글로벌화를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는 연구개발 혁신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연구개발의 글로벌화는 어느 정도 수준에 와 있는 것일까.

 교육과학기술부는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연구개발능력을 선진화시키고 연구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세계적 해외연구기관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으며, 대학연구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글로벌 연구네트워크 사업을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 해외석학에게도 출연연구소 기관장 자리를 개방하고 해외공동연구를 대폭 강화하는 등 출연연구소의 글로벌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나는 아시아 지역에서의 공동연구협력기구 설립 및 고급 과학기술인재의 공동 양성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교과부와 서울시 후원 아래 노벨상 수상자를 5명이나 배출한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를 한양대에 유치했다. 또 일본·중국·인도·싱가포르·베트남 등 아시아 유수 연구·교육기관과 함께 아시아 연구네트워크(asian research network) 체계를 구축했으며, 이를 미국과 유럽도 참여하는 글로벌 연구네트워크 체제로 점진적 전환을 도모하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과 일본이 중심이 돼 태동한 아시아연구네트워크는 과연 우리에게 어떤 메시지를 주는가. 이와 관련해 지난 1월 아소다로 일본 총리가 RIKEN-한양대 협력센터와 아시아연구네트워크사업단을 방문한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는 한일 간의 부정적인 역사적 시각에 의해 오랫동안 협력이 가능한 분야들까지 정체돼온 상황에서 벗어나, 동반자적 위치에서 양국 및 아시아 국가의 실질적인 과학기술발전을 위한 새로운 협력모델을 이루어내려는 공동의지를 상징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아시아연구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참여기관과 긴밀히 협력함으로써 과학기술과 글로벌 마인드를 갖는 인재양성 측면에서 새로운 상승효과를 낼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다. 네트워크 협력을 통해 추구할 수 있는 목표는 단지 특정한 분야의 연구협력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연구를 통해 얻어지는 창의적 인재 양성과 연구의 역동성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참여기관들과 연구자들의 열린 사고와 연구역량이 서로 잘 결합하면 과학기술과 타 분야의 자발적인 융합이 가능하게 된다. 다자 간 연구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초기의 새로운 변화는 몇 마리의 반딧불이 불빛을 깜박이는 것에 비유될 수도 있지만, 향후 아시아 중심의 연구네트워크가 글로벌 네트워크로 발전되면 수만마리의 반딧불이 동시에 불빛을 깜박이는 모습이 될 것이다.

 세계적 경영사상가 말콤 글래드웰은 그의 저서 ‘아웃라이너’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특정 분야에 최소한 1만시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글로벌연구네트워크 환경이 만들어지기를 기다리기보다는 아시아와 함께 열정을 갖고서 주도적으로 연구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추진하는 데 최소 1만시간 이상의 공을 들인다면,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글로벌 연구협력 체계를 우리가 중심적으로 이끌 날도 머지않을 것이다. 모든 일은 저절로 돼가는 것은 없으므로, 깨어 있는 상태에서 미래를 예측하고 준비해 지금의 위기를 기회로 그리고 그 기회를 우리 몫으로 만들어 나가야 한다.

 이해원 한양대 자연과학대학장 haiwon@hanyang.ac.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