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위피` 의무화 폐지 의미·반응

 한국형 무선인터넷 플랫폼 ‘위피’ 탑재 자율화 조치에 대해 이동통신, 단말 및 솔루션 사업자들은 대체로 바람직한 정책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소비자 단말 선택권을 확대하고 개방형 모바일운용체계(OS)라는 글로벌 추세에 발맞출 기회를 얻은 것뿐만 아니라 정부 정책의 불확실성을 해소한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국내 무선인터넷 산업 육성’과 ‘국내 무선인터넷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약화’라는 양날의 칼을 품고 있는 것으로 여겨져온 위피 탑재 의무가 사라지면서 보다 다양한 서비스와 단말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위피가 순수 국산 플랫폼이냐는 논쟁에서부터 시장 기능을 왜곡한다는 여러 기술·산업적 논쟁을 불러일으켰음에도 불구하고 솔루션 및 콘텐츠공급사업자(CP)에 대한 장기적인 지원책이 미흡하다는 점은 문제로 지적됐다.

 ◇이통산업에 ‘새로운 기회’= SK텔레콤 등 이통사와 단말 업체는 이통 산업에 다양한 플랫폼 등을 적기에 도입함으로서 시장 기회를 창출해 나가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SK텔레콤은 “이번 정책은 글로벌 환경 변화를 고려한 적절한 조치”라며 “위피 탑재 의무화 제도가 폐지되더라도 무선인터넷 솔루션 업계와 동반 발전을 모색해 나가는 한편 개방형 OS를 도입하는 등 트렌드 변화에도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KTF 역시 “제도가 시행되는 내년 4월에 맞춰 외산 단말기 도입을 추진하는 등 소비자 후생 증진 방안을 준비할 것”이라고 환영의 뜻을 내비쳤다.

 ◇휴대폰 업계, 철저히 준비하겠다=그동안 외산 단말의 시장 잠식으로 인한 충격 등을 우려하던 삼성전자와 LG전자, 팬택계열 등 국내 휴대폰 제조사는 외산 제조사가 국내에 제품을 내놓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고 판단, 이를 활용해 철저한 준비를 할 계획이다. 이들 제조사는 최근의 환율을 고려할 때 외산 휴대폰의 가격 경쟁력도 우려할 만한 수준이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위피를 탑재하지 않을 경우 국내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개발된 무선 콘텐츠 이용이 불편해 단기간에 큰 인기를 끌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수출용 휴대폰을 보다 자유롭게 국내 소비자들에게 선보여 제품 라인업 확대 측면에서 긍정적이라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무선인터넷 업계 지원 절실=무선인터넷 솔루션 및 콘텐츠 업체들은 장기적인 정책 방안에는 동의하면서도 사업 방향 수정을 위한 기간 및 지원책 부족에 대해 꼬집고 나섰다. 위피진흥협회 측은 “지연돼온 정책이 결정돼 명확한 사업 방향을 설정하게 된 점은 긍정적이다”면서 “하지만 시행 시기가 임박해 준비 시간이 적다는 점이 아쉽다”고 지적했다.

 그동안 위피 의무화 존속 주장을 견지해온 LG텔레콤 역시 “위피를 당장 안 쓸 수는 없다. 좀 더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고민이 필요하다”면서 “콘텐츠 호환 문제를 어떻게 풀어낼지에 대한 답도 내야 한다”고 밝혔다.

 ◇앞으로 위피 어떻게 되나=전문가들은 이통사 및 단말 제조사, 솔루션 등 이통 관련 업계가 수년간 연구해 탄생시킨 위피가 사라지는 것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특히 방송통신위원회가 위피의 진화 버전인 ‘위피3.0’이나 영세 CP들에 대한 명확한 지원책을 내놓지 않은 점을 문제로 꼽았다. 지식경제부 등 다른 부처와 공조해 실질적인 조치를 제시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 2005년 위피가 의무화되기 전부터 정부는 ‘한국형 이통솔루션의 세계화’를 기치로 내걸고 위피 연구에 박차를 가해왔다. 이런 과정을 거쳐 탄생한 위피는 실제 글로벌 이통 OS와 비교해도 기술적으로 전혀 손색이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런 이유로 위피진흥협회, 위피포럼 등에서는 위피3.0 개발을 통한 해외 진출을 모색할 예정이다. 오는 17일 열리는 위피콘퍼런스에서는 이통사, 제조사, 솔루션 업계 관계자가 대거 참석해 구체적인 내용을 논의하게 된다.

 임성순 위피진흥협회장은 “위피가 탑재된 단말, 위피 전용 콘텐츠 등이 시장에 일반화됐기 때문에 향후 3년은 위피가 자리를 지킬 것”이라며 “대비할 시간이 충분한만큼 위피가 해외 진출을 못한 이유를 정밀하게 분석해 원천기술을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양종석·황지혜기자 jsyang@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