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氣를 살리자](2)위기의식의 실체는- 통신 `원로`가 말하는 해법

 전직 고위 공무원을 비롯, 통신기업 최고경영자 출신 등 이른바 통신 분야 ‘원로’도 현재 통신 시장 상황이 위기라는 인식에는 한목소리를 냈다.

 이들은 약속이라도 한 듯 유무선 통신이 성장 정체라는 평가에는 주저하지 않았다.

 이들은 통신 사업자의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위험을 감수하는 도전 의식과 새로운 시장 창출 노력을 위기 탈출의 제1 조건으로 제시하며 고차원적인 해법을 내놓았다.

 정부 정보통신 산하기관장을 지낸 A씨는 “전통적인 통신은 신기술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고 전제한 뒤 “통신사업자가 고객이 눈돌릴 만한 색다른 서비스를 만들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A씨는 특히 통신사업자의 인터넷 비즈니스 발굴을 주문했다.

 이어 “국내 통신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른만큼 통신사업자 스스로 해외 시장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는 해법도 제시했다.

 규제 및 정책이 산업에 비해 뒤처져 통신사업자가 성장 모멘텀을 잃은 게 위기 원인이라고 진단한 전직 통신사 사장 출신인 B씨는 정부가 제대로 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역할론’을 강조했다.

 B씨는 “정부가 통신 시장을 활성화시키는 동시에 좋은 방향으로 육성하도록 해야 하는데 오히려 족쇄 채우는 데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정부 정책이 규제보다는 진흥이 우선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정통부 차관을 지낸 C씨는 방송과 통신 융합이라는 새로운 트렌드에 기초, 위기를 진단하고 돌파구를 모색해야 한다는 광범위한 해법을 내놓았다.

 C씨는 “‘통신’만의 성장은 한계에 이르렀고 방송과 통신의 융합 현상은 ‘불문가지’”라며 “방송과 통신의 상생을 통한 선순환 비즈니스 생태계 창출이 위기 탈출의 해법”이라고 밝혔다.

 C씨는 특히 콘텐츠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며 정부의 정책도 방송과 통신 간 선순환이 실현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정통부 고위 관료와 정부 산하기관장을 지낸 D씨는 통신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해야 한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D씨는 “통신은 IT 산업 전체를 선도하는 선단의 선두 역할”이라며 “‘통신’ 성장으로 인한 IT산업 효과 등을 고려하면 정책 우선 순위에 무엇을 놓을 것인지는 자명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