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달 탐사 독자 추진해야"

  경제성 논란에도 불구하고 우주 에너지 자원 확보와 국가안보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기술 개발 차원에서 독자적인 달 탐사 계획 추진이 필수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현재의 경제성과 효율성으로 10∼20년 후의 달 탐사계획을 평가하지 말고, 장기적인 유·무형의 부가가치 창출이라는 측면에서 타당성을 논의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19일 서울 교육문화회관에서 개최된 제5차 우주개발 진흥전략 심포지엄에서 첫번째 발표자로 나선 장영근 한국과학재단 우주단장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등 우주 분야의 선진국에서도 왜 달에 가야 하느냐는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며 “하지만 달 탐사는 과학기술적, 경제적, 정치·사회적인 측면에서 얻을 수 있는 가치가 있어 꼭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발표한 국가우주개발계획에 따라 2020년까지 달 탐사위성 1호를 개발하고, 2025년까지 2호를 개발하는 독자 달 탐사계획을 추진할 예정이다.

독자 달 탐사는 과학기술적으로 우주개발 기술을 높이고, 우주생물학과 우주의 근원 등 우주에 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라는 것이다. 화성으로 가기 위한 전초기지 역할도 할 수 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달 표면에 침전되어 있는 ‘헬륨3’를 지구로 가져와 핵융합의 원료로 사용하는 등 우주자원을 확보하고, 우주기술 개발을 통한 산업화 및 기술파급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달 탐사를 통해 국민에게 비전을 제시하고, 자긍심을 고양하는 무형의 가치도 있다.

장 단장은 “지난 6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발표한 대로 미 항공우주국(NASA)이 추진하는 국제 달 네트워크(ILN) 사업 참여를 통해 획득한 기술을 독자 달 탐사와 연계해야 한다”며 “외국의 경우처럼 정부 내에 우주사업을 전담하는 조직을 신설하고, 국가간 협력 등을 수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달 탐사 개발방향과 소요기술 분석’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사업단장은 “우리나라가 자력으로 달 궤도선을 보내는 2018년께는 미국 등 우주 선진국뿐만 아니라 일본·중국·인도 등 아시아 국가도 달 탐사를 이미 수행한 지 10년이 지난 시기가 될 것”이라며 “그럼에도 고유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해야 관련 기술 고도화 달성에 기여할 수 있으며, 외국과의 협상에도 유리하다”고 말했다. 이 단장은 “달 탐사를 위한 임무를 KSLV-2호 성능 내에서 개발하고, 궤도선과 착륙선의 설계 공유 등 예산을 최대한 절감하는 방식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권건호기자 wingh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