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 60년, 발자취와 미래] 건국 60년 10대 경제적 사건

Photo Image

 건국 이후 대한민국 역사는 굵직한 경제적 사건들의 연속이었다. 새마을 운동에서부터 오일쇼크, IMF가 있었다. 건국 이후 10대 경제적 사건들을 모아본다.

 

1.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2년)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수립해 실천한 5개년 단위의 종합경제개발계획.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은 사회·경제적인 악순환을 떨쳐내고, 자립경제 달성을 위한 기반구축이 기본 목표였다. 정부의 적극적인 추진노력으로 이후 5개년 단위의 경제개발 계획은 꾸준히 이어졌다.

2. 경부고속도로 개통(1970년)

1968년 2월 착공해 2년 반 만인 1970년 7월 7일 완공했다. 서울과 부산을 잇는 길이 428㎞에 달하는 고속도로로 단군 이래 최대의 토목공사로 꼽힌다. 경부고속도로 개통은 자동차시대 개막, 1일 생활권시대, 대도시 인구집중 가속화, 지역개발, 인적·물적 자원의 지역 간 유통혁명 등의 효과를 발생시켰으며 한국경제의 고속성장 가도를 이끌었다.

3. 새마을 운동(1972년)

1970년 4월 지방장관회의에서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수재민 복구대책과 넓은 의미의 농촌재건운동에 착수하기 위해 마을가꾸기 사업을 제창하고, 이것을 새마을가꾸기운동이라 부른 데서 시작됐다. 근면·자조·협동이 기본정신. 초기 농촌개발사업에서 출발해 농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성과를 얻으면서 점차 비농촌지역으로 확산됐다. 1970년대 경이적인 경제발전을 지원한 정신적인 힘이었다.

4. 1·2차 오일쇼크(1973∼1974년, 1978∼1980년)

두 차례에 걸친 국제석유가격의 급격한 상승으로 인해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 국가들이 큰 혼란을 겪었다. 이를 계기로 자원민족주의가 대두되기도 했다.

5. 수출 100억달러 달성(1977년)

우리나라 총수출규모는 경제개발계획을 처음 시작한 1962년 5000만달러, 1964년 1억달러, 1970년 10억달러 돌파 등 급격한 신장세를 이어간 끝에 1977년 마침내 100억달러를 달성했다. 수출 위주의 정책은 부작용도 있었지만, 경제대국 한국으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축을 담당했음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6. 서울올림픽(1988년)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를 전 세계에 알린 계기가 됐다. 당시 최대 규모인 160개국, 1만3404명의 선수가 이념과 이해관계를 넘어 참가했고, 우리나라는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40억 세계인에게 대한민국을 각인시켰다. 서울올림픽은 한국 경제가 다시 한번 발전하는 원동력이 됐다.

7. 금융실명제 실시(1993년)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긴급명령’에 의거, 1993년 8월 12일 모든 금융거래에 도입됐다. 금융거래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모든 금융거래에 실명을 사용하도록 한 조치다. 부작용이 있긴 했지만 장기적으로 한국 사회를 투명하게 만드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8. IMF 경제위기(1997년)

1997년 12월 5일 외환위기를 겪으며 국제통화기금(IMF)에 자금지원을 요청하게 된 사태. 이로 인해 우리나라 경제가 큰 위기를 겪게 됐으며, 국제통화기금이 요구하는 조건들을 수행해야 했다. 당시 많은 회사가 부도 및 경영 위기에 직면했고, 대량 해고와 경기 악화로 인해 온 국민이 어려움을 겪었다. IMF는 우리 기업에 IT의 중요성, 창의적인 제품 개발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준 계기가 됐다.

9. 한미 FTA 타결(2007년)

2007년 4월 2일, 협상개시 후 14개월간의 긴 협상을 거쳐 최종 타결됐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미국과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며, 금융·통신·지식재산권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협상을 타결했고 이를 통해 세계 최대시장을 확보하게 됐다. 세계 무역시장의 흐름도 다자협정에서 양자협정으로 변화되고 있다.

10.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2007년)

1인당 국민소득(GNI) 2만달러는 후진국에서 선진국으로 가는 분기점이 된다. 1953년 1인당 GNI 67달러에 불과하던 우리나라가 눈부신 발전을 이룩한 것. 하지만 1인당 GNI가 1만달러를 넘었던 1995년부터 2만달러가 넘는 데까지 12년이나 걸리면서 향후 4만달러 진입에 대한 대한 우려도 있다. 과학기술계와 전자정보통신업계가 넘어서야 할 과제다.

권건호기자 wingh1@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