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전` 첨단 의료산업 허브 경쟁

Photo Image
부산과 대전 의료산업 허브 경쟁력 비교

 부산과 대전의 첨단의료산업 허브 구축 경쟁이 뜨겁다.

부산시와 대전시는 각각 연구와 산업 인프라를 입지 최대 경쟁력으로 내세워 수천억원에서 수조원대의 인프라 투자 계획을 속속 발표하며 주도권 잡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

◇우리가 허브 최적지=부산시는 일단 서울·경기를 제외하고 광역 지자체로는 가장 많은 인구 수 및 의료의 주 수요층인 노인인구 밀집지역이라는 점을 제외하더라도 현재 블루칼라 인구의 최대 분포지 동남권의 중심이라는 점과 특히 동남권 원자력의학원 기공, 중입자가속기 도입 등 2000년 초부터 아시아 의료 허브를 목표로 추진해온 각종 대규모 사업을 한국 의료산업 허브의 당위성으로 내세우고 있다.

대전시는 21개 정부출연연구소와 44개 민간 연구기관, 9개 정부 투자기관 등 타지역을 압도하는 기존 R&D 인프라가 최대 강점이다. 특히 대전은 신의약 및 의료 관련 대형 국책연구사업단이 31곳이나 운영되고 있으며 연간 1000억원 규모의 의료기술 관련 국가 R&D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 실질적인 R&D 허브임을 강조하고 있다.

◇의료 인프라 추진 및 투자 계획=대전시는 의료 산업을 대덕특구 선도산업으로 육성해 향후 10년 내 세계 5대 의료기술 혁신클러스터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여기에는 임상시험연구을 거점으로 ‘중개임상연구의료원’(가칭)을 설립, 특구 내 의료기술 관련 기관을 재정비하는 한편 9000억원을 투입해 맞춤형 의료, 예방·예측의료, 나노·의약품, 메디컬IT 분야를 중점 육성한다는 구상이 포함된다.

이를 토대로 원자력연구원과 연계한 원자력암의학융합연구원을 설립하는 등 오는 2017년까지 국제적인 암치료 허브 도시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대덕특구의 R&D 기능과 오송·오창의 대량 생산기능, 세종시의 비즈니스 기능을 연계하면 시너지 효과는 배가될 것으로 대전시는 기대하고 있다.

이에 맞서 올 초 부산시는 고리원전 등 기존 시설과 동남권 원자력의학원 등 현재 추진 중인 사업 및 향후 추진 계획을 묶어 의료 중심으로 관광과 산업이 패키지로 어우러진 동남권 과학거점도시 구상을 내놨다. 특히 과학거점도시를 울산 경남과 연계해 대덕특구에 버금가는 의과학특구로 만들겠다는 방침 아래 총 1조1089억원을 노화연구원, 방사선환경과학연구센터 설립 등에 투입 중이거나 투입 예정이다.

부산의 경우 경남 김해와 밀양, 양산 3개 도시를 잇는 ‘바이오실버 트라이앵글 클러스터’와 연계하면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김해 의생명융합산업지원센터를 중심으로 3169억원이 투입돼 ‘실버산업클러스터’가 조성 중이며, 밀양에는 바이오나노 R&D 허브, 양산에는 부산대 양산병원을 중심으로 u호스피탈 개념의 종합의료타운과 실버의료IT 산학단지가 조성되고 있다.

◇첨단의료복합단지는 어디로=당면 관심사는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 여부와 두 지역의 대통령 공약인 과학비즈니스벨트, 과학거점도시 조성사업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유치 경쟁이 뜨거운 첨단의료복합산업단지는 향후 의료산업 허브의 핵심 인프라가 될 공산이 크다. 또 대통령 공약사업 역시 의료허브 구축에 최대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이어서 놓칠 수 없는 사안이다.

대전시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과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를 연계해 추진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보고 다각도로 접근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반면에 부산시는 정부의 과학거점도시 및 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사업은 다른 무엇보다 비즈니스 가능성에 따라 선정돼야 한다는 방침 아래 불리한 여건이 조성되더라도 동남권 의료수요를 반영한 독자적인 의료허브 구축은 계속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임동식기자 dslim@ 대전=신선미기자 smshin@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