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돌풍 `터치폰` 속 알고 쓰자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터치폰 구동방식 비교

 품귀현상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뜨거운 관심을 받는 터치폰. 그러나 이 터치폰의 세부 기술이나 장단점을 제대로 아는 소비자는 많지 않다. 휴대폰 제조사의 대대적인 마케팅으로 기능과 특징을 알고 있지만 어떻게 작동하는지, 어떤 부품을 쓰는지 알지 못한다. 이러한 소비자를 대신해 터치폰 속을 들여다봤다.

◇터치 방식과 장단점은?=국내외에 출시한 터치폰의 구동방식은 크게 디지털 정전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미세한 전류가 흐르는 막(도전막)에 인체에서 나온 정전기가 닿으면 전류 흐름에 변화가 생긴다. 이 변화를 입력장치로 활용하는 게 바로 디지털 정전용량 방식이다. 애플의 아이폰과 삼성의 아르마니폰, LG의 프라다폰(해외용) 등이 대표적이다. 손톱 등 스크래치에도 강하며 멀티터치가 가능해 해외에서 각광받고 있다. 문제는 필기체 인식이 잘 안 된다는 점. 문자구조가 복잡한 중화권 시장 공략에 어려움이 있다. 해상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보인다. 손가락 등 인체를 접촉해야만 작동이 되는 것도 불편하다.

 그래서 나온 게 저항막 방식이다. 필름(상판) 및 글라스(하판)에 압력을 가해 입력신호를 보내는 형태다. 최근 출시된 삼성의 햅틱, LG의 뷰티폰 등 대다수 터치폰이 이 방식을 채택한다. 해상도가 우수하며 필기체 인식이 가능한데다 반응속도와 터치의 정확성도 높다. 하지만 압력을 가해야 작동하기 때문에 강하게 눌러줘야 한다. 스크래치 등에 취약해 손톱으로 긁거나 케이스 없이 가방 속에 넣고 다니면 흠집이 날 수 있다.

◇부품·소재 아직은 외산이 대세=국내 터치폰에 들어가는 부품·소재는 대부분 외산업체가 장악했다. 핵심소재인 투명전극(ITO) 코팅필름은 일본의 닛토덴코가, 터치스크린 패널은 일본의 닛샤가 주도권을 잡고 있는 형국이다. 따라서 이들의 생산능력에 따라 원자재 수급 상황이 좌지우지되는 상황이다. 많은 전문가들이 “터치폰이 활성화될수록 일본 업체에만 수혜가 간다”고 꼬집는 것도 이 때문이다.

터치폰에 들어가는 칩인 컨트롤러도 시냅틱스·퀀텀·사이프레스 등 외국업체의 독무대다.

외국 부품소재업체는 특히 터치폰의 대세인 저항막 방식에서 우리 업체를 압도한다. 디지털 정전용량 방식에만 집중해온 우리 부품소재업체의 분발이 요구된다. 희망적인 것은 우리 업체의 기술이 상당 수준 올라가고 있다는 점이다.

터치폰의 고질적인 문제는 햇빛이라는 불청객이다. 주력 디스플레이인 TFT LCD는 햇빛에 약하다. 풀터치 방식이라면 통화를 위해 그늘을 찾아야 한다는 우스개소리가 나올 정도다. 햇빛에 강한 OLED가 대안이다. 이 분야에도 우리 업체의 발빠른 대응이 필요하다.

설성인기자@전자신문, siseol@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