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논단]대·중소기업 상생만이 경제 살린다

 강한 중소기업이 강력한 대기업의 경쟁력을 만든다. 이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 협력해야 하는 실질적인 이유며 국가경쟁력 강화를 통한 1인당 국민소득 4만달러 달성과 세계 7대 경제 강국으로 진입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다. 그러나 최근 원자재 가격 급등 과정에서 불거진 중소기업들의 납품중단 사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 협력 관계가 아직 탄탄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중소기업 대표들이 머리에 띠를 두르고 거리로 나선 것은 그동안 대기업과의 거래과정에서 쌓였던 불만들이 한꺼번에 곪아 터졌기 때문이며 누구의 잘못을 따져 책임을 묻기보다는 새살이 돋아 더 강해지도록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 협력을 위한 시스템 정비에 집중해야 한다.

 주요 대기업을 중심으로 ‘납품대금 현금결제’ ‘성과공유제 실시’ 등 외형적 상생 협력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으나 강한 중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진정한 의미의 상생 협력에는 아직 온기(溫氣)가 퍼지지 못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1월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47%가 대기업의 일방적 납품단가 인하를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지적했고, 대기업의 시장지배력을 이용한 불공정거래 관행에 중소기업의 불만은 지속되고 있다.

 글로벌 소싱과 적시생산시스템(JIT:Just In Time)을 이유로 추가물류비 부담 고려 없이 해외에 있는 대기업 물류기지로 입고를 요구하면서 공정 및 품질·기술 지도를 해주겠다는 것이 중소기업과의 상생 협력은 아니다. 고통분담은 고스란히 중소기에 전가하고 개선실적에 따른 적정한 분배가 없는 상황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 협력은 요원한 일이며 협력 중소기업에 대한 적절한 보상체계는 대기업이 그 어떤 솔루션이나 시스템에 투자하는 것보다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글로벌 아웃소싱에 과다하게 의존하거나 원가절감에만 주력하고 협력업체의 품질관리에 소홀하게 되면 경쟁력 우위를 상실할 수 있음을 빨리 깨달아야 한다. 세계 최고 자동차 업체인 벤츠가 아웃소싱 전자부품의 품질악화로 미국시장에서 2000대의 차량을 리콜하고 이에 따라 내구성 품질지수가 곤두박질친 사례는 남의 일이 아니다.

 2000년 이후 닛산 추격과정에서 지나친 원가절감과 개발기간 단축에 사활을 걸었던 미쓰비시자동차는 2만2000대의 트럭과 8만대의 경차를 리콜, 소비자 불만이 증폭돼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다. 반면에 개방적 협력관계 지원과 성과공유, 투자펀드를 통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한 도요타·인텔·노키아의 사례는 중소기업과 협력해 원가절감을 추진하되, 성과를 공유하고 시장자립 보장과 미래 성장원천을 확보한 기업이 글로벌 경쟁에서 승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 협력은 납품단가 현실화 등 중소기업을 상생의 동반자로 인식하는 데서 출발한다. 대기업의 사업부서별 성과 평가방식을 단기실적 위주에서 벗어나 협력업체의 경쟁력 수준을 향상시키는 장기적 관점에서 평가하도록 풍토를 바꾸고, 대기업이 협력 중소기업과 성과를 공유하도록 제도화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대·중소기업 간 상생 협력은 기업 생태계를 건강하게 키우는 것인만큼 단순한 협력관계를 뛰어넘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경쟁력과 기술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미래지향적인 관계로 나아가야 한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 kimkm@kbiz.or.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