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자원부, 내부 조직개편에 얽힌 두 표정

 지식경제부로의 조직 및 인력 정비에 들어간 산업자원부에 두 가지 표정이 교차하고 있다.

 타 부처와 딴판으로 늘어나는 실(1급) 단위 조직과 우정사업본부 인수에 따른 자릿수 확대로 만면에 미소가 흐르는가 하면, 흡수할 정보통신부 직원들의 연차 대비 직급이 산자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조직 결합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지식경제부로 자리를 옮기는 100여명의 정통부 직원은 행시 40회까지 과(팀)장을 맡고 있다. 현실적으로 38회 과장이 최고 기수인 산자부와 비교해 2년 안팎의 격차가 생긴다.

 정통부 출신의 과·국장이 들어오면 새 지식경제부 조직에서 행시 역전 현상이 일어날 소지를 다분히 안고 있다.

 산자부 관계자는 “이미 보직을 받은 정통부 직원이 옮겨 온다고 해서 억지로 끌어내릴 수 없는만큼 직급을 승계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다만, 후배 기수들에게 2년 정도의 승진 간격을 둬 격차를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승계 요건에 맞추자면 정통부 출신 1급(실장)도 가능한 상황이다.

 산자부가 동력자원부와 상공부를 결합시켜 탄생한 조직인만큼 커다란 논란 없이 화학적 결합을 완성할 수 있을 것으로 자신했다. 그러면서도 외부에는 “피흡수 인력이라는 피해의식은 버리고 와야 한다”며 경쟁론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골칫거리가 있지만 ‘호재’도 있다. 우정사업본부 인수에 따라 각 지방 체신청장 자리가 무더기로 넘어오기 때문이다. 재정경제부에서 넘어오는 경제자유구역기획단도 소속 인력은 30명 안팎으로 적지만 1급(실장) 조직이란 점에서 산자부로선 반갑다.

 산자부 관계자는 “인사 정책상 상당한 여유가 생길 수 있는 일”이라며 “그렇지만 이전과 다르게 경쟁의 원칙에 입각해 인물을 가리고, 낙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산자부 측은 우정사업본부 조직 흡수와 관련, 낙하산 또는 보신 인사라는 외부 시선을 의식했다. 산자부 관료들이 이 때문에 외부 인사와 만날 때 민영화가 추진돼야 할 조직에 무조건적인 정실 인사가 이뤄질 수도 없으며, 있어서도 안 된다고 거듭 강조한다.

  이진호기자@전자신문, jholee@


브랜드 뉴스룸